아하
검색 이미지
부동산 이미지
부동산경제
부동산 이미지
부동산경제
리히리지
리히리지23.03.28

전세가율이 의미하는 것은 무엇인가요?

부동산 시세를 볼때 전세가율를 보라고하는데 전세가율을 봐야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높고 낮음이 의미하는 것이 무엇이며

어떻게 해석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3.28

    안녕하세요. 서주환 공인중개사입니다.

    전세가율은 물건의 시세대비 전세보증금 비율을 뜻 합니다.

    보증금 비율이 높을경우 추후 부동산 가격이 하락하여 시세가 보증금보다 작아지는 경우가 발생 될수 있기에 위험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물론 임대인이 다른 재산이 있고 여유가 된다면 문제 없겠지만 그 내용을 파악 하기에는 매우 어렵기에 단순 전세가율을 보고 70%를 넘는 물건은 선택 하지 않는게 좋을듯 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어상 공인중개사입니다..

    전세가율이란 주택매매가격에 대비한 전세가격의 비율로서, 갭투자의 지표가 될 수 있습니다.

    전세율이 내렸다는 것은 주택매매가격이 올라갔는데도 전세가격이 그대로일 경우를 말합니다.

    그런데 지금의 전세율의 하락은 주택값이 하락하게 될 경우에 전세가도 같이 하락하는데, 그 비율이 전세가가 더 떨어져서 혹은 매매가가 전세가보다 더 떨어져서 여러가지 문제들이 발생하게 됩니다. 전세가율이 낮아지면 주택값이 상승하기 힘들게 됩니다.

    매매가가 떨어지며 전세가를 하회하게되면 깡통전세가 생기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전세가율은 시세대비 전세가격의 비율입니다. 보통 전세가율이 높으면 시세와 보증금 차이가 적기 때문에 매수자 입장에서는 캡투자시 투자금액이 적기에 유리하고, 임대차수요가 많은 곳으로 볼수 있고, 세입자 입장에서는 주택가격하락이 될 경우 깡통전세가 될 확률이 높아집니다. 반대로 전세가율이 낮으면 시세와 전세가격차이가 심한데 이는 임차인입장에서는 실제 거주하기 불편한 30년 전후반의 오래된 아파트거나, 실거주(임대차)수요가 적다고 판단하시면 될듯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세가율은 매매가대비 전세가의 비율을 말합니다.

    예를 들면,

    매매시세가 1억원이고, 전세시세가 7천만원일 경우 전세시세가 매매세시의 70%를 차지한다고 말을 하는데 이를 전세가율 70%라고 생각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병윤 공인중개사입니다.

    전세가율은 : 매매가대비 전세가격의 비율입니다.
    → 전세가율 = 전세가격/매매가 x100%

    항상그렇다는건 아니지만 전세가율이 높아진다는 건 매매가도 올라갈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부동산 상승기일때)

    참고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곽대영 공인중개사입니다.

    집시세 10억

    전세 5억

    전세가율 50%

    전세가율이 높으면 세입자가 주인보다 많은 돈을 내고 살고 있으며 집값이 조금만 내려가도 보증금 반환이 어려워질 수 있으며 깡통전세의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주인은 전세가율이 높아야 내돈이 많이 안들고 집을 유지할 수 있으며, 세입자 입장에선 전세가율이 낮아야 보다 안전한 집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영관 공인중개사입니다.

    집 시세대비 전세금 비율을 말하는것입니다. 만약 집값이 3억이고 전세가 2억7천이면 전세가율이 90퍼센트인것 입니다.

    그러나 집값이 호가가 3억이고 실제 거래될수있는 가격을 확실히 검토하셔야 보다 정확한 전세가율이 측정이 됩니다.

    높고 낮음은 집 시세대비 전세가격이 높으면 가율이 높게나오고 전세가격이 낮으면 가율이 낮게나오는 것 입니다.


  • 안녕하세요. 주영민 공인중개사입니다.

    전세가율이 높다는 것은 갭이 적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런 경우, 요즘과 같은 부동산 하락장에 역전세가 일어나고,

    그러다보면 집주인이 때로는 전세금을 못돌려주고, 담보 잡혀서 집이 경매로 나오기도 합니다.

    전세가율이 높으면 경매로 팔리더라도 전세보증금은 모두 다 받으실수 없게 됩니다.

    참고로 일반적으로 매매가의 70%로 경매가 진행되기 때문에

    전세가는 적어도 70%이하 낮은 집을 고르시는것이 안전합니다


  • 안녕하세요. 양정섭 공인중개사입니다.

    전세가율: 전세보증금/매매가 라는 공식으로 계산을 하게되는데 만약 매매가가 10억이라고 가정하고 전세보증금이 8억이라고 한다면 전세가율은 80%가 적용이 됩니다.

    이렇게되면 나머지 20%만 본인이 가지고 있다면 투자를할수가 있게되는 것입니다.

    임대인의 입장에서는 높은수준의 부동산을 소액의 돈으로살수있어서 좋겠지만 반대로 2억을 투자한집에 전세세입자는 8억을 들고 들어오게 되는것입니다.

    이것이 문제가 안생기면 그것이 이상하다고 볼수 있습니다.

    집을 구할때도 이러한 전세가율이 높은곳은 최대한 피하는것이 좋으며 숫자가 높을수록 위험도도 상승을 하게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