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경제정책

POFBA
POFBA

새정부가 검찰을 개혁한다고 하는데요 검찰을 어떻게 개혁하는지 궁금합니다

우리나라 검찰 같은 경우에는 매우 권력이 막강한 집단인데요 그리고

이번 정부가 들어서면서 검찰을 개혁한다고 하는데요 검찰개혁은 어떻게

하는지 방안을 알고 싶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검찰 개혁의 핵심은 기소권, 공소유지만 검찰 조직에 두고, 수사권을 다른 기관에게 주면서 상호 견제가 가능하게 만드는 것입니다. 또한 국민의 인권 보호를 위해 수사절차법을 제정한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검찰의 경우 기소권 및 수사권을 모두 가진 기관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자신들이 수사를 하고 해당되는 사람들을 기소하 수있는 권한이 있기에 객관적이지 않다라고 평가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그리고ㄱ 권한이 너무 많이 있다라고 보는 사람도 있습니다. 이러한 검찰의 개혁에는 정치적 중립성을 가져야 하며, 수사권과 기소권을 분리하여 관리해야 된다는 입장에서 검찰개혁이 진행이 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금요일 아침이네요!

    검찰개혁은 검찰의 권한을 분산시키고 수사 과정의 투명성과 공정성을 높이기 위한 제도적 개편을 말합니다.

    수사권과 기소권의 분리이구요 검찰이 직접 수사하는 권한을 제한하고 경찰이나 독립 수사기관이 수사를 담당하도록 하는 방향입니다. 그리고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및 협력강화인데 공수처는 고위공직자들의 부패를 전담 수사하는 기관으로 검찰의 견제 장치로 도입되었습니다.

    정부는 공수처의 기능을 강화하고 검찰과의 이중 수사를 피하기 위한 협력 체계를 마련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에서 검찰 개혁은 오랫동안 논의되어 온 핵심적인 정치, 사회적 과제 중 하나입니다. 검찰이 막강한 수사권과 기소권을 동시에 가지고 있어 권력 남용의 가능성이 있다는 비판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기 때문입니다. 특히 현 정부는 검찰 개혁을 중요한 과제로 삼고 있습니다.

    현 정부의 검찰 개혁은 주로 수사권과 기소권의 분리를 통해 검찰의 권한을 축소하고, 다른 수사기관(경찰, 공수처 등)과의 견제와 균형을 이루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습니다.

    이는 단순한 조직 개편을 넘어 대한민국 형사사법 시스템의 근본적인 변화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검찰개혁은 검찰의 권한 분산과 견제 강화를 목표로 합니다. 주요 방안은 수사권 축소, 기소권 통제 등 입니다.

    정치적 중립성 확보와 공수처, 경찰의 역할 강화도 핵심입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새정부의 검찰 개혁에 대한 내용입니다.

    예, 바로 기소와 수사에 대한 권한을 둘로 나누는 것입니다.

    기소권과 수사권을 동시에 갖고 있는 경우가

    세계적으로도 거의 없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새 정부의 검찰개혁 방안은 검찰청 폐지와 공소청으로의 개편, 수사권과 기소권의 분리 등을 핵심으로 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새 정부 출범 후 인사 개편을 통해 친윤 검사 사퇴하고 새로운 인사를 단행했습니다.

    또한 수사권 완전 폐지와 공소청 신설하고 정치적 중립성과 독립성을 강화하도록 했습니다.

    투명한 개혁을 추진함에 따라 국민적 공감대 형성을 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장수한 경제전문가입니다.

    새 정부의 검찰개혁은 이전 정부들보다 더 구체적이고 속도감 있게 추진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먼저, 수사권과 기소권을 분리했습니다. 이에 따라, 검찰의 수사지휘권이 제한되고, 검찰은 기소 중심, 경찰은 수사 중심 역할을 하도록 기능 조정이 추진됩니다.

    그리고 검찰청이 폐지될 예정입니다. 검찰청을 폐지하고, 이를 중대범죄수사청(중수청) 및 공소청으로 나누는 법안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새 정부 역시 검찰청 운영의 민주적 통제와 투명성 강화를 위해 이 같은 조직 개편 논의를 검토하고 있습니다.

    또 법무부 감찰권을 강화합니다. 법무부 감찰권을 실질적으로 강화하여, 검찰이 내부적으로 사건을 감찰하는 셀프 감찰을 없애고, 법무부가 외부 감찰 역할을 맡도록 합니다. 검사의 징계, 감찰 체계를 법무부 산하로 이관해 독립적이고 공정한 감찰 시스템이 목표입니다.

    직접 수사 기능을 대폭 축소합니다. 검찰의 직접수사 부서가 축소되거나 해체되고, 형사 공판 담당 부서 중심으로 전환됩니다. 예전처럼 검찰이 직접 수사하던 방식을 폐지하고, 공판 강화에 중점을 둡니다.

    압수수색, 영장 제도를 개선합니다. 압수수색 영장 사전심문제 도입, 재정신청 확대, 대검의 정보수집 조직 폐지 등의 제도가 제안 중입니다. 영장 청구 절차에 법원의 감독이 강호되면서 수사기관의 권한 남용을 견제합니다.

    이 중에서도 가장 핵심은 수사와 기소의 분리, 검찰청 폐지 정도로 요약할 수 있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

    검찰청을 폐지해서 기소(검사가 법원에 특정 사건의 심판을 요구하는 것)하고 공소만 전담하는 역할로 바꾸는 방안입니다. 검찰청을 공소청으로 바꿉니다.

    그리고 중대범죄수사청을 새로 만들어 직접 수사하는거 여기서 하는 것입니다.

    수사권이랑 기소권을 분리하는게 핵심입니다.

    결국 검찰이 직접 수사하는 걸 제한해서 권한을 줄이려는 거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