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료 할증될거라고 연락이 왔는데요
최근 주차장에서 나오다 옆차를 긁어서 보험처리 했는데
그분이 차를 휴일 직전에 렌트하시고 라이트 교체도 요청해서 200이 나왔어요
보험사쪽에서 운이 나빴다고 근데 할증붙을거라고 안내차 전화줘서..
지금 원래 보험료가 75만원인데 3년간 20%정도 할증이면..
보험처리가 더 나은게 맞죠?
안녕하세요. 이원태 보험전문가입니다.
안타깝게도 대물 보상금액이 200만원이면 보험처리하는것이 낫습니다 몇십만원이면 환입하고 보험처리 안해도 되지만 그러기엔 금액이 커서 보험으로 하는것이 맞습니다
안녕하세요. 장옥춘 손해사정사입니다.
지금 원래 보험료가 75만원인데 3년간 20%정도 할증이면..
보험처리가 더 나은게 맞죠?
: 네. 보험처리가 유리합니다.
하지만, 정학히 보험금이 얼마가 지급되는지는 알수 없으나, 200만원에서 얼마초과가 안된다면
200만원이내로 맞추시고 즉 199만원정도로 맞추고 초과액은 현금처리하시면 물적할증은 피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수빈 보험전문가입니다.
사고 금액이 200만원 이하라면 보험처리가 더 유리할 수 있습니다. 할증 걱정이 크지 않거나, 보험료 인상보다 수리비가 더 크다면 보험처리가 더 나을 수 있답니다. 사고 후 무사고 할인 혜택이 떨어질 수 있으니 보험사와 상담해서 최적의 선택을 하시는 게 좋습니다.
보험처리 금액 확인해 보시고 200만원 초과금액에 대해 보험회사에 환입시켜 할증을 피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런 경우라도 무사고할인이 없어져 약간의 보험료 인상은 있을 것입니다.
물적 할증 기준 2백만원 초과 여부에 따라 보험료 할증은 달라지게 되는데 상대 차의 대물 손해만
2백만원이 나왔다면 자차 보험 처리시에 질문자님의 차량에 대한 수리비도 수리비의 20%인 자기부담금을
공제하고 발생하기 때문에 그 정도 금액이면 보험 처리하는 것이 낫습니다.
안녕하세요. 윤석민 보험전문가입니다.
200만원 정도면.. 참 애매하네요. 기존 보험료가 75만원이니,,
자동차 보험요율은 할인할증의 등급이 있습니다. 등급은 1Z(최고 할증) ~ 29Z(최고 할인)까지 있고, 신규 가입자는 11Z에서 출발합니다.
3년 무사고 이후 부터는 1년 갱신 → 1등급씩 할인(숫자 커짐)됩니다.
그리고 사고점수 1점당 1등급 할증되면서 (숫자가 작아지면서) 예: 13Z 운전자가 사고점수 3점이면 10Z로 하락합니다.
만약 무사고기간이 3년을 넘어서 보험료가 할인된 단계라면 사고 이후로 다시 무사고 3년이 지나야 할인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보았을 땐 더 손해라고 보는게 맞지 않을까 싶네요.
그게 아니라 표준 할인등급이였거나 무사고기간이 오래되지 않았으면 별 수 없이 보험처리를 하는 방법이 제일 나아보입니다. (개인의견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동우 보험전문가입니다.
안타깝지만 사고가 아니라 긁힌거라면 자동차보험으로 처리를 하기보단 일상생활배상책임특약으로 하시는게 더 좋습니다. 1억한도로 배상을 해 줄 수 있고 자동차보험 할증도 안되거든요.
혹여라도 추후에 이런 비슷한일이 생기신다면 일상생활배상책임특약으로 처리를 하시는 걸 권고드려요~
도움이 되셨길 바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