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모,삼촌말은 잘듣지만 부모말은 안듣는 아이
아이들이 대부분 그럴거라고 생각하지만,
부모말은 엄청 안들으면서
이모,삼촌 말들 엄청 잘듣습니다.
이모, 삼촌들이 모든걸 다 해줘서 그런걸까요?
부모 말을 잘 듣지 않는 아이로 인해 걱정이 되는 것 같습니다.
아이에게 부모의 마음을 이야기해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아이를 훈육할 때는 소리를 지르기보다는 친근한 어투로 말해야 합니다.
가장 먼저 해야 할 것은 아이의 마음을 읽어주는 것입니다.
그런 다음 관찰한 사실을 말해주고 양육자의 감정을 전달합니다.
마지막으로 '앞으로는 ㅇㅇ행동은 하지 않았으면 좋겠어'라고 부탁을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들이 이모.삼촌 말을 잘 듣는 이유는
부모님 처럼 이래라,저래라 라고 잔소리를 하지 않고 엄하게 하지 않고 아이에게 큰 간섭을 하지 않기 때문 입니다.
즉, 부모님 외에 다른 사람들은 아이에게 이러쿵 저러쿵 하면서 아이의 기분을 상하지 않게 하고 아이의 뜻을 다 받아주기 때문에 아이들은 이모.삼촌 말을 잘 듣지만 부모님의 말을 잘 듣지 않는 것입니다.
하지만 아이들이 부모님의 말을 듣지 않는 행동은 좋은 태도는 아닙니다.
부모님의 말을 잘 듣는 아이가 다른 어른의 말을 귀 기울여 경청하고 행동 및 언어를 조심할 수 있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이모 삼촌말은 잘 듣지만 부모님 말을 잘 듣지 않는 경우는 아무래도 부모님과 많은 시간을 보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부모님께서 아이들과 좀 더 소통을 하고 말을 잘 들을 수 있도록 만들어 주시는게 중요하다고 생각하니 참고해주시는게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아이들이 부모의 말은 잘 듣지 않고 이모, 삼촌의 말은 잘 듣는 경우는 꽤 흔한 현상입니다. 부모는 아이에게 규칙과 책임을 부여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로 인해 아이는 부모의 말을 좀 더 부담스럽게 느낄 수 있습니다. 반면 이모와 삼촌은 부모와 비교했을 때 규칙이나 요구가 덜 엄격하고, 아이가 상대적으로 자유롭게 지낼 수 있습니다. 부모가 지나치게 부드럽거나, 지나치게 엄격한 경우 아이는 부모의 말을 듣지 않으려는 경향이 생길 수 있습니다. 부모의 말을 잘 듣도록 하려면 균형 잡힌 권위가 필요합니다. 아이가 부모 말을 잘 들었을 때 적절한 보상을 해주는 것도 유효한 방법입니다. 이모와 삼촌은 부모의 규칙을 강제로 강요하지 않지만, 아이가 부모와의 약속을 지킬 때 칭찬하거나 소소한 보상을 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오늘 부모님 말 잘 듣고 숙제도 다 했구나! 정말 잘했어!"라는 칭찬을 통해 긍정적인 행동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부모가 일상에서 긍정적인 역할 모델이 되어주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그러니 무엇보다도 부모님의 역할이 가장 중요하다는 사실을 인지하시고 부모님이 제대로 교육을 해주시기를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아이들이 이모, 삼촌 말을 잘 듣는 것은 이들이 좀 더 자유롭고 부드러운 관계를 유지하기 때문일 수 있어요. 부모는 아무래도 훈육을 하기도 하고 싫은 소리도 하게 되니 아이들이 그로 인해 상대적으로 덜 따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수진 유치원 교사입니다.
부모는 아이에게 권위적인 역할을 해야할 때가 많기 때문에, 아이는 때때로 그 권위에 반항하려 할 수 있습니다. 반면, 이모와 삼촌은 아이에게 상대적으로 친구같은 존재로 다가가므로 그들의 말을 따를 때 훨씬 편안하고 부담이 덜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신수교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부모는 아이와 일상적으로 많은 시간을 보내기 때문에 아이는 부모의 말을 자주 듣게 되고 이에 따라 때로는 부모의 지시나 요청에 대한 반항적인 태도를 보일 수 있습니다. 이모나 삼촌은 새로운 사람으로 인식 될 수 있기 때문에 아이가 그들의 말을 더 잘 따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수성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익숙하지 않은 어른 들이라 낯설기도 하고, 무서울 수도 있고, 말씀하신것처럼 가끔씩 만날때 마다 좋은 것 좋아하는 것들을 더 많이 해주는 어른이라 그런듯 합니다. 그 이모의 자녀, 삼촌의 자녀도 똑같은 고민을 할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부모님이 아이들을 지나치게 간섭을 하거나
아이와의 관계에 문제가 있지 않을까 생각이 드는데요
이는 아이와의 부드러운 대화를 통해서 관계를 점검 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아이와 대화를 할 때 최대한 경청을 하고 아이의 마음을 이해해 주세요
그리고 서로 존중해주고 공감하는 태도가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
아이들의 마음은 갈대 와 같죠 아이들이 하고 싶은 거 관심 있는 것을 호응 해준다면
아이들은 좋아 할 수 밖에 없습니다
맛있는 것들을 싸주거나 좋은 장난감을 구매해주거나 하면 아이들로 부터 호응을 얻을 수 있죠
하지만 부모님들은 매일 해 줄수가 없으니 가끔 보더라도 아이들이 좋을 하는 것 들을 해준다면
아이들이 좋아 할수 밖에 없죠
하지만 이모 삼촌이라도 아이들에게 장난을 치거나 괴롭힌다면 아이들이 당연히 싫어 하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