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가 없거나 버려진 아이들이 간다는 곳으로 부육원이 있더군요 보육원은 몇살부터 몇살까지 있는가요?
국가시설로 되어 있는 보육원은 버려진이이들이 주로 간다고 하는것 같아요. 그럼 보육원은 몇살부터 몇살까지 보육을 할수가 있는가요?
보육원이 입소연령은 다음과 같습니다.
만3세~만18세
그리고 입소 유형은
-보호자가 없거나 보호자로부터 이탈된 아동
-보호자로부터 학대받은 아동
-보호자의 학대로 아동보호전문기관에 신고되어 보호조치를 의뢰한 아동
-보호자의 질병, 가출 등으로 가정 내에서 보호하기 어려운 아동
-시·군·구청장 또는 도지사가 특별히 보호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아동이라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우리나라에서 국가시설로 운영되는 보육원은 일반적으로 0세 ~ 18세까지의 아동을 대상으로 합니다. 주로 부모가 없거나 가정에서 양육이 어려운 아동들이 입소하게 되며, 아동의 나이에 따라 다양한 프로그램과 지원을 해주게 됩니다. 보육원은 아동이 성년이 될 때까지 필요한 보호와 교육을 제공하는 곳입니다.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보육원은 18세 ~19세 까지 아이들이 있을 수 있습니다.
만19세가 넘으면 스스로 자립을 해야 하는데요.
중요한 것은 아이들을 그냥 자립시키긴 보다는 사회에 나가면 어떻게 생활을 하고, 생계를 유지해야 하는지 밑거름의 바탕을 단단히 메꿔준 후에 사회로 내보는 것이 좋지 않을까 라는 생각을 해봅니다.
안녕하세요.
보호대상 아동이 머무르는 보육원은 만 18세까지 있을 수 있었으나, 희망한다면 만 24세까지 머무를 수 있도록 2022년 법률이 개정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유미선 보육교사입니다.
국가시설로 되어 있는 보육원은 버려진이이들이 주로 간다고 하는것 같아요. 그럼 보육원은 몇살부터 몇살까지 보육을 할수가 있는가요?
보육원의 입소 나이는0세에서 18세 까지이나
아이들과 상의후에 만24살까지 퇴소나이를 연장할수 있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보통 보육원은 일반적으로 0세부터 18세까지의 아동을 대상으로 운영됩니다..!
보육원은 만 3세부터 만 18세 미만의 일반아동이 입소 대상이며, 부모 사망, 부모 가출, 부모 이혼 또는 부모의 질병으로 인한 경제적 빈곤으로 아동 양육이 불가능한 경우, 기아나 학대 등으로 보호가 필요한 경우에 입소할 수 있습니다(아동복지법 제10조에 의거)합니다.
보호 종료 기간은 기존에는 만 18세였으나, 2022년 법 개정을 통해 만 24세로 연장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보육원은 18세까지 보호 종료 후에도 일정 조건 하에 20대 초반까지 생활할 수도 있습니다. 보육원에서는 기본적인 생활지원뿐 아니라 교육, 정서적 지원도 제공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보육원은 부모가 없거나 보호가 필요한 아동을 돌보는 기관입니다. 일반적으로 영유아부터 성인이 될때까지, 대체로 0세부터 18세까지의 아동과 청소년이 보육원에 머물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고아원이 현재 보육원으로 변경 되었구요
보육원은 0세부터 18세까지 아동을 수용하는 곳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