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즐거운 나날들
즐거운 나날들

주택담보대출이 은행별로 많이 막였다는데 그럼 집값이 내려갈까요?

갑자기 급등하는 집값을 잡으려 정부에서 대출을 축소하고 있다는데 그럼 집값이 앞으로 좀 떨어질까요? 안정이 될까요? 전세는 좀 내려갈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정부에서 다음달부터 DSR 2단계 규제가 시행하고 전세대출 규제도 강화하면 일부 지역에서는 집값 상승에 영향을 미칠수 있겠지만 강남같은 현금이 많은 지역에는 효과를 거두기 어려울 것으로 생각됩니다. 정부에서 특례대출을 풀고 DSR 2단계 시점을 연기한 것 자체가 집값 단속에 대한 의지가 없는 것으로 비춰진 것 같으며 향후 금리 인하가 기대되는 만큼 한번 불붙은 열기는 쉽게 꺽기가 힘들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원칙적으로 대출을 옥죄게 되면 집값이 잡히는 효과는 단기적으로 있겠지만 잘못하면 풍선효과로 나중에 더 큰 상승의 위험이 올 수도 있습니다. 금리인하에 대한 기대감과 임대차3법 2+2년 만기로 임대인들의 4년치 임대료를 올리면서 전세가가 올라가고 전세가가 매매가를 올리는 현상과 맞물려 수도권 중심으로 집값이 올라가고 있지만, 대출을 옥죄게 되

    단기적으로 양극화가 더 심해지지 않을까 사료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서울과 수도권의 대출한도를 더줄이겠다고 했는데 공급이 부족하면 그래도 오를수 있습니다

    우선은 주춤할거라 보입니다

    정부에서는 그린벨트라도 풀어서 공급을 하겠다고 하는데 워낙 공급이 부족해서 그기간까지가 문제가 될거 같습니다

    26년도에는 입주물량이 거의 없어서 전문가들은 그때까지는 더오를것으로 보고 있는데 정부정책이 실효성이 있을지 더두고 봐야 할거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이론상 주택자금대출에 규제가 되면 주택수요가 줄어들어 가격이 하락하는게 일반적입니다. 다만 실제 시장에서는 어떤 결과가 나타날지는 쉽게 예상하기 어렵습니다. 이유는 대출에 대한 규제가 진행되나, 한편으로는 금리인하등의 호재도 예상되고 있고 현 시장 분위기도 부동산 회복기대감으로 상승중에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단기적으로 주택공급량이 일정기간 줄어들 가능성도 있기에 공급부족에 따른 가격상승 여지도 남아 있습니다. 그에 따라 그외 추가적인 부동산 규제가 시행되지 않을 경우라면 단순히 대출에 대한 한도제한등이 가격상승을 통제하기에는 한계가 있어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제동 공인중개사입니다.

    정부의 주택담보 대출을 규제한다면 돈줄이 막혀 부동산 가격안정에 어느정도 기여하겠지요

    그러나 수도권 및 서울지역은 양질의 일자리로 수도권 인구집중과 주택지의 공급부족으로 지방과 격차를 보이며 양극화 현상을 보일 것입니다

    따라서 정부는 지속적인 모니터링하여 강력한 안정화 노력에 힘을 기울리겠지마는 ㆍ? ?

    금년말 한국은행의 금리인하가 복병으로

    잠재되어 앞으로 부동산가격 동향은 당분간 에측하기 어렵다고 봅니다

  •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주택담보대출을 안해주면 주택을 매수하고자 하는 심리는 줄어듭니다.

    하지만 심리는 줄어들지만 향후 집값이 상승할 것이라는 생각이 크면 대출을 막아도 제2금융권을 통해 주택을 매수하게 됩니다.

    단기적으로 수요는 감소하지만 장기적으로 억눌렸던 매수세가 몰리면서 집값 상승 시킬 수 있는 요소로도 작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