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산부인과 이미지
산부인과의료상담
산부인과 이미지
산부인과의료상담
로맨틱한발발이142
로맨틱한발발이14224.04.01

임신 중에 비행기 탑승해도 되는 시기가 있나요?

나이
44
성별
여성
복용중인 약
기저질환

임신 중 비행기를 타도 되는 시기가 정해져 있나요?

피치못할 사정으로 비행기를 타야한다면, 어떤 준비를 하고 타는게 도움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병관 의사입니다.

    임신중 대부분 비행기 타는데 지장 없습니다. 다만, 출산이 임박한 경우에 대처가 어렵기 때문에 32주 이상에서는 출산예정일이 적힌 의사소견서가 필요하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임신 중 비행기 탑승은 일반적으로 임신 초기와 후기를 제외한 2분기(임신 14주부터 27주까지)에 가장 안전하다고 여겨집니다. 이 시기는 임신 초기의 입덧이 줄어들고, 조산의 위험이 낮아지며, 비교적 몸 상태가 안정적인 시기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임신 기간 중 언제든지 비행기를 탈 수는 있지만, 특히 임신 후기(임신 28주 이후)에는 의료적 상황이나 항공사의 정책에 따라 제한이 있을 수 있습니다.

    가능하다면 복도 자리를 선택하여 다리를 쭉 펼 수 있게 하고, 수시로 걷거나 스트레칭을 해서 혈액 순환을 돕는 것이 좋습니다. 비행 중 탈수를 예방하기 위해 충분한 수분을 섭취하고, 카페인이 함유된 음료는 피하세요. 임신 중 혈전증 위험이 높아질 수 있으므로, 장시간 비행할 경우 압박 스타킹을 착용하여 다리의 혈액 순환을 돕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1회의 비행 중 노출되는 방사선량은 아주 적기 때문에 신경쓰실만한 부분은 아닐 것이나, 우려가 되신다면 2분기에 비행하시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1분기는 너무 초기라서, 3분기는 분만의 위험이 있어서 피하시는게 안전한 편입니다.


    저의 답변이 부족하겠지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가급적이면 임신 말기에는 양막 파열등의 출산 임박 상황이 발생할수 있으니

    피하는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일반적으로 임신 중반까지는 비행기 탑승에 큰 제약이 없습니다. 임신 32주까지는 대부분의 항공사에서 의사 소견서 없이 탑승이 가능한데, 28-32주 사이에는 항공사마다 규정이 조금씩 다를 수 있으니 사전에 확인이 필요합니다.

    임신 후반기에 비행기 탑승 시에는 조산 위험, 좌석 안전벨트 착용 어려움 등의 문제가 있어 의사 소견서가 필요한 경우가 많고, 36주 이후에는 대부분의 항공사에서 탑승을 제한하고 있습니다.

    불가피하게 임신 중 장거리 비행을 해야 한다면 다음과 같은 준비와 주의사항이 도움될 수 있습니다.

    1. 산모와 태아의 건강 상태를 확인하고 의사의 승인을 받을 것

    2. 비행 중 자주 좌석에서 일어나 기지개를 켜고 기내에서 걷기

    3. 압박스타킹 착용, 충분한 수분 섭취로 심부정맥 혈전증 예방

    4. 임신 중반 이후에는 복부를 보호하기 위해 자동차용 임산부 벨트 착용 고려

    5. 기내식은 가능한 생야채나 덜 익힌 음식은 피하는 것이 안전

    무엇보다 산모와 태아의 건강과 안전이 최우선이므로,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라면 장거리 이동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불가피한 상황이라면 주치의와 충분히 상담 후 안전에 각별히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임신을 하였다고 하여서 비행기를 타지 못할 이유는 없습니다. 다만 아무래도 출산의 위험이 있는 만삭 시기나 각별히 조심을 하여야 하는 극초기에는 비행기 탑승을 하지 않는 것이 안전합니다. 임신 중기의 안정기에는 얼마든지 탑승하여도 무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