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병원 초진 실비청구 관련해서 질문합니다
개인병원에서 대학병원으로 가보라고 해서 갔습니다
초진 때는 약처방이 없어 처방전이 나오지 않았습니다
그러니 진단코드가 없는 거 같은데
실비청구 가능 한가요????
안녕하세요. 이원태 보험전문가입니다.
실손보험은 실제사용한 의료비를 본인부담금을 공제한후 보상하는 보험입니다 병원영수증과 진료비세부내역서를 제출하고 청구하면 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은정 손해사정사입니다.
개인병원에서 대학병원으로 가는 경우 진료의뢰서가 있으실 겁니다.
금액이 소액이라면 서류 별도로 발급받지 않으시고 진료의뢰서로 청구가능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선희 보험전문가입니다.
개인병원에서 상급종합병원으로 진료의뢰시 요양급여의뢰서를 발급해 주는데 병명이 적혀있습니다.진단명을 기재해서 청구하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권태민 보험전문가입니다.
진료영수증, 진료세부내역서로도 실손의료비 청구가 가능합니다.
해당 서류들 모두 발급비용이 들어가지 않으니 두 서류로 청구넣으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정훈용 보험전문가입니다.
진료비영수증
진료비세부내역서
의무기록사본
이렇게 제출하시면 될겁니다.
소액건이라면 위 서류만으로 진단코드 없어도, 기존 치료받던 내용과 동일한 질병명으로 치료받았다는 내용으로 어필하시면 처리가 될겁니다.
안녕하세요. 이덕원 보험전문가입니다.
개인병원에서 대학병원으로 가라고 했다면 관련된 질병명을 확인할수 있는 진료확인서또는 초진차트로 대체할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탁준 보험전문가입니다.
실손의료보험은 원칙적으로 질병이나 상해에 대한 진료가 실제로 이루어졌고, 이에 따라 비용이 발생한 경우에 보험금 청구가 가능합니다. 약 처방이 없었다고 하더라도, 진찰료 등 병원에서 비용이 청구되었고 그 진료가 질병과 관련된 것이라면 보험금 청구는 가능하십니다.
다만 이때 중요한 점은, 병원에서 발급한 진료비 세부내역서나 진료확인서에 진단명(질병코드)가 기재되어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진단명이 없을 경우, 보험사에서는 해당 진료를 단순한 건강상담이나 예방 목적의 진료로 판단하여 보장 대상에서 제외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먼저 병원에 문의하시어 해당 진료에 진단명이 부여되었는지 확인하시고, 진단명이 있다면 진료비 세부내역서와 영수증을 함께 보험사에 제출하시면 됩니다. 만약 진단명이 부여되지 않은 경우에는, 의료진에게 진단서나 진료확인서 발급이 가능한지 확인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결론적으로, 약 처방이 없었다는 이유만으로 실손보험 청구가 불가능한 것은 아니며, 진단명이 명시된 진료였는지 여부가 청구 가능 여부를 결정짓는 핵심 요인입니다. 진단명이 있는 경우에는 실손보험 청구가 가능하오니, 병원 기록을 확인하신 후 절차를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보험전문가입니다.
자기부담금 이상이라면 실손의료비 청구가능합니다.
영수증과 세부내역서가 구비되었다면 해당 서류로 청구하시면됩니다.
다만 보험사에서 진단명이 확인되는 서류(초진기록지나 진료확인서 등)를 요청할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윤석민 보험전문가입니다.
진단코드가 없어도, 보험금 청구서에 해당 내용만 자세히 기입해주시면 그냥 지급해주는 경우도 있습니다.
더 확실하게 하시려면 원무과에 질병코드가 적힌 아무 서류중 가장 저렴한 서류 발급해주세요 라고 요청하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장옥춘 손해사정사입니다.
그러니 진단코드가 없는 거 같은데
실비청구 가능 한가요?
진단코드가 없다하여도 진료비영수증과 진료비세부내역서로 청구하시면 됩니다.
대학병원 진료비에 대해서도 실비 처리는 가능합니다.
진료비 영수증(세부내역서)등을 첨부하여 실비 청구하시면 됩니다.
보험회사에서 필요서류를 요구할 수는 있어 보입니다. (초진기록지 등)
안녕하세요. 마희열 보험전문가입니다.
개인 병웑에서의 진료 으뢰로 대학 병원 내원
처방전이 나오지 않아도 보험금 청구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