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급여가 세전인지 세후인지 ?
구직사이트에서 급여연봉 3500-5500 기본급여 250에 매출 인센은 또 따로 적혀 있어서 이 내용으로 알고 취업을 했는데 취업 후 알고 있던 내용과 다른 부분이 있어 궁금한 것이 있습니다.
1. 구직사이트에 있던 급여연봉과 기본급여가 세전 금액을 얘기 하는 건가요 ? 세전이라면 세후 실수령 금액은 대략 어느 정도 되는 것인지..
2. 원래 연봉 안에 인센을 포함 시키는 게 맞나요 ?
안녕하세요. 차충현 노무사입니다.
1. 세전입니다. 월봉을 알아야 매월 실수령액이 얼마인지 대략적으로 알려드릴 수 있습니다.
2. 노사 당사자간에 합의로 인센티브를 연봉에 포함시킬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김호병 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드립니다.
1. 세전 연봉을 의미합니다.
2. 연봉과 인센티드를 구분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안녕하세요. 이기중 노무사입니다.
1. 4대보험료와 세금은 근로자가 임금을 받고 본인이 낸다는 개념이고, 모든 임금은 세전을 기준으로 합니다.
2. 네
안녕하세요. 박도현 노무사입니다.
보통 연봉은 세전으로 체결하며, 세후 금액은 급여에 따라 근로자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적용될 수 있습니다.
연봉에 인센포함 여부는 사업주가 구인공고하기 나름이라
구체적인 근로조건은 구인공고보다는 근로계약서를 통해 확인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성필 노무사입니다.
일반적으로 세전 연봉을 기준으로 협의가 이루어집니다. 세후 금액은 일반적으로 세전 급여에서 10% 정도 공제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인센티브는 사업장에서 임의로 운영가능하고 연봉에 포함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손인도 노무사입니다.
1. 임금구성항목에 대하여서는 당사자간 합의에 따라 정해집니다.
2. 1번 답변으로 갈음합니다.
안녕하세요. 주현종 노무사입니다.
1. 일반적으로 채용공고에 올라오는 연봉은 금액은 세전 연봉을 뜻합니다. 세후 실수령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매월 지급되는 정확한 임금액을 알아야 합니다.
2. 연봉안에 기본으로 지급되는 임금에 인센티브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정동현 노무사입니다.
1. 채용공고나 근로계약서상 연봉은 세전을 표시하게 됩니다.
2. 연봉에 인센을 포함하여 지급할 수 있습니다.
3.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