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청춘만화
청춘만화
24.08.01

원산지 검증절차에 대한 대응방안은?

원산지증명서 발급 후, 수출입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원산지 검증 절차와 이에 따른 대응 방법은 무엇이며, 이를 통해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를 최소화하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박현민 관세사
    박현민 관세사
    SEOULTECH
    24.08.01
    경제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원산지 증명서 발급 후 수출입 과정에서 원산지 검증 절차는 제품이 fta 협정상의 원산지 기준을 충족하는지 확인하는 과정입니다. 검증 결과 원산지 기준을 만족하지 않으면 관세 혜택이 취소되거나 벌금이 부과될 수 있으므로, 기업들은 철저한 준비가 필요합니다.

    검증 절차는 서류 심사, 현장 실사, 정보 요청 등의 단계로 진행됩니다. 서류 심사에서는 제출된 원산지 증명서와 관련 서류의 일관성을 검토하고, 필요 시 제조 현장을 방문하여 실제 생산 과정과 원자재 사용 현황을 확인합니다. 추가 정보가 필요한 경우, 관련 자료를 요청하기도 합니다.

    리스크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원산지 판정 기준을 명확히 이해하고, 모든 증빙 서류를 완벽히 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내부 시스템을 구축하여 체계적으로 정보를 관리하고, 정기적으로 자체 점검과 모의 검증을 실시하여 문제점을 사전에 파악해야 합니다. 전문가 상담을 통해 정확한 정보를 얻고, fta 협정의 최신 정보를 숙지하며 원산지 보험 가입을 고려하는 것도 좋습니다. 이러한 준비와 관리를 통해 원산지 검증에 따른 리스크를 줄이고, fta 혜택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FTA 원산지증명서를 발급받은 후, 수출입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원산지 검증 절차와 이에 따른 대응 방법, 그리고 리스크를 최소화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원산지 검증 절차에는 서류 검토, 추가 서류 요청, 현장 실사, 검증 결과 통보가 포함됩니다. 서류 검토 과정에서 수입국 세관 당국은 제출된 원산지증명서를 검토하며, 서류의 정확성과 완전성을 확인합니다. 필요시 수입국 세관은 원산지 증명을 위한 추가 서류를 요청할 수 있으며, 이는 원산지소명서, 제조공정도, 원재료명세서 등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경우에 따라 수입국 세관 당국이 수출자의 생산 현장을 방문하여 원산지 확인을 위한 실사를 진행할 수 있으며, 검증 결과 원산지 기준을 충족하지 않는 것으로 판명될 경우, 수입국 세관은 이를 수출자에게 통보하고 해당 물품에 대해 FTA 특혜 관세를 적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대응 방법으로는 철저한 서류 준비, 정확한 정보 제공, 원산지 관리 시스템 도입, 정기적인 내부 감사, 전문 인력 양성이 있습니다. 원산지증명서 발급 시 필요한 모든 서류를 철저히 준비하고, 원산지 기준을 명확히 충족하는지 확인하며, 원산지소명서, 제조공정도, 원재료명세서 등의 서류를 완벽하게 준비합니다. 원산지증명서 작성 시 허위 정보나 누락된 내용이 없도록 주의하고, 모든 정보는 정확하고 완전하게 기재해야 합니다. 원산지 관리 시스템을 도입하여 서류 작성과 관리 과정을 자동화하고 오류를 줄이며, 서류의 일관성과 정확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또한, 원산지 증명 관련 내부 감사를 정기적으로 실시하여 원산지 기준 충족 여부와 서류의 정확성을 지속적으로 확인하며, 원산지 규정과 절차에 대한 전문 지식을 갖춘 인력을 양성하여 검증 절차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합니다. 리스크 최소화 방법으로는 사전 검토 및 자문 활용, FTA 협정별 요구사항 숙지, 정기적인 교육 및 정보 업데이트, 적극적인 대응이 있습니다. 원산지증명서 발급 전에 관련 기관이나 전문가의 사전 검토를 받아 잠재적 문제를 미리 파악하고 해결하며, 각 FTA 협정의 요구사항을 정확히 숙지하여 해당 요구사항을 충족하는 서류를 준비해 검증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예방합니다. FTA 원산지 규정 및 절차에 대한 정기적인 교육을 실시하고 최신 정보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여 변경사항에 신속히 대응하며, 수입국 세관의 추가 서류 요청이나 현장 실사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여 원산지 기준 충족을 입증하고 필요한 경우 원산지 증명 관련 서류를 신속하게 제공하여 검증 절차를 원활하게 진행합니다. 이러한 방안들을 통해 FTA 원산지증명서 발급 후 발생할 수 있는 원산지 검증 절차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리스크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는 궁극적으로 FTA 혜택을 최대한 활용하고 수출 경쟁력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전경훈 관세사입니다.

    원산지 증명서 발급 후 발생할 수 있는 원산지 검증은 fta 협정의 적정한 활용 여부를 확인하는 중요한 절차로, 이에 대비하고 리스크를 최소화하기 위해 다양한 대응 방안을 수립하고 실행해야 합니다. 먼저, 검증 절차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며, 직접 검증, 간접 검증, 혼합형 검증 등 다양한 유형과 수입신고 시, 통관 후, 불시에 이루어질 수 있는 검증 시기에 대비해야 합니다. 또한, 검증 시 요구되는 서류 목록을 미리 파악하고 필요한 서류를 준비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철저한 원산지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해당 품목의 원산지 판정 기준을 정확히 파악하고 이에 맞는 증빙 자료를 체계적으로 관리하며, 원재료 구매 내역, 생산 과정, 가공 과정 등 모든 기록을 꼼꼼하게 유지해야 합니다. 내부 통제 시스템을 강화하고 부서 간 협업 체계를 구축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검증 대응 매뉴얼을 마련하여 검증 통지를 받으면 즉시 대응팀을 구성하고 검증 요구 사항을 정확히 파악하며, 소명 자료를 신속하게 준비하고 필요한 경우 추가적인 자료를 제출해야 합니다. 현장 실사가 예정되어 있다면 자료를 미리 준비하고 적극적으로 협조해야 합니다. 전문가 자문 활용도 중요하며, 관세사나 법률 전문가의 자문을 통해 복잡한 판정 기준이나 검증 절차, 법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리스크 최소화 방안으로는 인증 수출자 제도를 활용하여 검증 횟수를 줄이고 간소화된 절차를 적용받으며, 원산지 사전 심사를 통해 판정의 정확성을 확인하고, 보험 가입을 통해 검증으로 인한 손해에 대비할 수 있습니다. 원산지 검증은 fta 혜택을 누리기 위한 필수적인 절차로, 철저한 준비와 체계적인 관리를 통해 성공적으로 대응하고 리스크를 최소화해야 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원산지검증은 수입국의 관세당국의 요청에 따라 또는 직접 수행이 가능한데, 이는 협정에 따라 관련 규정이 상이합니다.

    https://www.customs.go.kr/ftaportalkor/cm/cntnts/cntntsView.do?mi=3477&cntntsId=1121

    일단 원산지 검증은 어떠한 부분에 대한 요청이 왔는지를 명확히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며, 결국 원산지규정을 충족하였다는 서류를 갖추고 이를 제출하는 절차가 수행되어야 합니다.

    원산지검증시의 체크포인트 등에 대하여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https://www.customs.go.kr/ftaportalkor/cm/cntnts/cntntsView.do?mi=3478&cntntsId=1122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장수한 관세사입니다.

    원산지 검증 시 조사 대상자는 관세사의 조력을 받을 권리가 있습니다.

    먼저 관세사를 선임하시어 최대한 도움을 받으시길 추천드리며, 원산지결정기준에 어긋난 원산지 업무를 하진 않았는지 다시금 자료를 검토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또한, 특정 처분을 받으신 경우 이의가 있으시다면 불복절차에 의거 이의신청, 심사청구, 심판청구를 제기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원산지검증이란 협정관세 적용 대상에 대하여 진위여부를 확인하는 절차입니다. 크게는 직접검증, 간접검증이 있으며, 직접검증은 보통 미국, 캐나다 등 미주권 국가들간의 FTA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검증은 세관에서 통지가 오게되며, 대상 품목들에 대한 필요자료들을 제출하게 됩니다. 기초서류인 수출신고필증부터 BOM, 자재단가, 단가증빙서류 등을 제출하게 됩니다. 그리고 세관이 이에 대하여 확인을 완료하면 검증이 완료되지만 이러한 서면검증으로 부적합하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직접검증으로 진행되게 됩니다. 이러한 리스크는 시스템화를 통하여 관련 증빙들을 잘 갖추고있는 방법밖에 없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