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양보호사로 실업급여를 받으려면 얼마나 근무를 해야하나요?
요양보호사로 근무하다 퇴사 후 실업급여를 받으려면
1.어는정도 기간을 근무하고 퇴사를 해야 받을 수 있나요?
2.정규직이 아닌데도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지수 노무사입니다.
1.어는정도 기간을 근무하고 퇴사를 해야 받을 수 있나요?
> 고용보험 180일 이상 가입되어야 하므로
주 5일 근무 기준으로 8개월 정도는 넘게 근무하셔야 합니다.
2.정규직이 아닌데도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나요?
> 네 비정규직도 가능합니다.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이기중 노무사입니다.
1. 고용보험 피보험단위기간 180일이 되어야 합니다.
2. 정규직이 아니어도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동현 노무사입니다.
실업급여는 피보험단위기간 180일을 충족하고 비자발적(권고사직, 계약기간 만료 등)으로 퇴사하면 신청할 수 있습니다.
1. 정규직이 아닌 경우라도 실업급여 요건을 충족한다면 실업급여 수급이 가능합니다.
2. 실업급여는 주5일 근무기준 대략 7 ~ 8개월 정도는 근무하고 퇴사해야 180일 충족이 가능하여 신청할 수 있습니다.
3.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차충현 노무사입니다.
1. 최종 이직일 전 18개월(초단시간 근로자의 경우 24개월) 동안의 피보험단위기간이 통산하여 180일 이상이어야 하므로, 해당 회사에서의 피보험단위기간만으로 구직급여를 수급코자 한다면, 주 5일 근무 시 최소 7개월 이상 고용보험에 가입하고 근무해야 합니다.
2. 네, 고용형태를 불문합니다.
안녕하세요. 손인도 노무사입니다.
귀 질의의 사실관계만으로는 명확히 판단이 어려우나, 실업급여는 최종 직장에서의 이직일 이전 18개월 이내의 고용보험 가입기간이 180일 이상이면서 일정한 사유(계약기간 만료 등)로 근로관계가 종료되면 근로자가 직접 사업장 소재지 관할 고용센터에 신청하여 수급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형규 노무사입니다.
요양보호사로 근무하다 퇴사 후 실업급여를 받으려면
1.어는정도 기간을 근무하고 퇴사를 해야 받을 수 있나요?
2.정규직이 아닌데도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나요?
-> 실업급여 문의로 사료되며,
문의하신 경우, 이직일 이전 18개월간(초단시간근로자의 경우, 24개월) 피보험단위기간이 통산하여 180일 이상이 되어야 합니다.
또한, 고용보험법령에서 정하고 있는 수급자격이 제한되지 않는 이직사유 중 어느 하나를 충족하여야 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해당 요건들을 충족하는 이상 실업급여의 수급이 가능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성필 노무사입니다.
이직일 이전 18개월간 피보험 단위기간이 180일 이상이고, 이직사유가 권고사직 등 비자발적인 사유로 이직하는 경우에 실업급여 수급이 가능합니다. 정규직이 아니어도 문제되지 않으나, 고용보험에는 가입이 되어 있어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김호병 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답변합니다.
1. 실업급여를 받으려면 피보험단위기간(실근로일+유급휴일·휴가일) 180일 이상을 충족해야 합니다.
2. 정규직이 아니어도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형준 노무사입니다.
요양보호사도 일반 근로자와 마찬가지로 최종퇴사일 이전 18개월 간 180일 이상 이상 근무(실제 근무일수기준 ) 하였다면 실업급여 수급이 가능합니다.
기간제 계약직 근로자라도 가능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종영 노무사입니다.
실업급여 수급자격이 인정되려면 고용보험법 상 기준기간(이직일 전 18개월) 동안의 피보험 단위기간이 합산하여 180일 이상이어야 합니다.
이직일 전 18개월에는 종전 사업장에서 근무한 기간이 포함되며, 이직 사유가 실업급여 수급자격 제한 사유인지 여부는 최종 근무지를 기준으로 판단합니다.
정규직이 아니더라도 실업급여 수급자격이 제한되지는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박대진 노무사입니다.
요양보호사라고 해서 실업급여가 다르게 적용되지 않습니다. 18개월의 기간동안 180일 이상(2023년 5월 이후 10개월로 변경될 수 있음) 근무하였고 계약만료, 해고, 정년 등 비자발적으로 퇴사를 하게 되었다면 실업급여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정규직과 계약직 상관없이 위의 요건을 충족하면 받으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