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소아청소년과 이미지
소아청소년과의료상담
소아청소년과 이미지
소아청소년과의료상담
고상한호아친123
고상한호아친12324.04.04

초등학교 자녀가 뛰다가 발목을 삐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나이
47
성별
여성
복용중인 약
없습니다.
기저질환
갑상선

초등학교 자녀가 계단을 오르내리다가 살짝 발목을 삔 것 같습니다.

육안으로 보기엔 크게 붓는 것 같지는 않은데

집에서 취할 수 있는 간단한 조치들이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집에서 할수 있는것은 다친 부위를 움직이지 않도록하고 부어있다면 다리를 좀더 올린 자세를 유지 하는것이 도움이 됩니다.

    익일 근처 정형외과 진료를 보는것을 추천 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병관 의사입니다.

    특별한 조치가 필요하지 않고 발목을 사용하지 않고 쉬기만 해도 저절로 좋아질 것 같네요.

    열감이 심하면 시원한 물 적셔서 열기 식혀주는 정도 고려할 수 있겠고 통증있으면 타이레놀등 진통제 고려할 수 있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우선 RICE 치료가 필요합니다. 휴식, 냉찜질, 압박, 높이기의 네 가지 요소를 활용하여 발목 손상 후 통증 및 부종을 완화하는데 효과적입니다. 발목에 충분한 휴식을 취하고 얼음을 이용한 냉찜질을 하며, 하루에 34회, 각각 2030분씩 시행합니다. 또한 적절한 압박을 가하고, 손상 후 48시간 동안은 발목을 심장 수준보다 높이 유지하여 붓기를 완화시킵니다. 대체로 1도 염좌의 경우에는 이 방법으로 충분히 치료할 수 있습니다.

    초기에는 단기간 목발 사용으로 체중 부하를 제한하여 증상을 빠르게 완화할 수 있습니다.

    통증과 부종이 심한 경우나 협조가 어려운 환자에게는 석고 고정이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석고 고정은 주로 2도 이상의 염좌에서 사용되며, 고정된 상태에서 체중 부하가 가능하므로 보행에 적합합니다. 최근에는 통증이 없고 걸을 수 있는 정도가 되면 석고를 일찍 제거하고 재활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보조기나 테이핑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보조기는 개인이 독립적으로 착용 가능하고 경제적이며 피부에 부작용이 없어서 널리 사용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다친 다리를 2-3일 정도 냉찜질해보시고, 다리 사용을 1-2주 정도 자제하면서 생활해야 하겠습니다. 이 기간이 지난 후에도 통증이 지속되면 정형외과에서의 진료가 필요합니다.


    저의 답변이 부족하겠지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채홍석 의사입니다.

    압박붕대를 사용하여 움직이지 않게 하시고 냉찜질을 해주세요

    진통소염제를 먹이시고 내일 정형외과 진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체중부하를 했을때 통증이 없다면 발목이 다시 꺽이지 않게 조심하면서 보행하시면 되겠습니다.

    만약 체중부하시에 통증이 있다면 짧은 기간이라도 반부목을 대시는게 맞습니다.

    염증과 붓기가 심하면 냉찜질을 하시는게 맞지만 붓기가 없다면 굳이 냉찜질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냉찜질은 혈액순환을 감소시켜 부종을 줄이는데 도움을 주지만 조직의 회복속도를 오히려 낮추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자녀의 발목 부상에 대해 다음과 같은 조치를 취해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1. RICE 요법 적용:

    • Rest(안정): 부상 부위의 움직임을 최소화하고 가능한 한 쉬도록 합니다.

    • Ice(냉찜질): 부종과 통증 완화를 위해 20분 간격으로 냉찜질을 해줍니다. 얼음팩을 직접 피부에 대지 않도록 수건으로 감싸서 사용합니다.

    • Compression(압박): 탄력붕대로 부상 부위를 감아 부종 완화를 돕습니다. 단, 너무 꽉 조이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 Elevation(거상): 부상 부위를 심장보다 높은 위치에 두어 부종 억제를 돕습니다.

    1. 통증이 심하거나 붓기가 심해지면 소아과 또는 정형외과 진료를 받습니다.

    2. 부상 초기에는 온찜질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온찜질은 오히려 부종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3. 부상 후 2~3일 이내에는 걷기, 뛰기 등 발목에 무리가 가는 활동은 제한합니다.

    대부분의 발목 염좌는 며칠 안에 호전되지만, 일주일 이상 증상이 지속되거나 악화된다면 반드시 의사의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적절한 처치와 안정으로 자녀의 발목 부상이 잘 회복되기를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최원제 의사입니다.

    얼음찜질을 해주고 쉬게 하는게 제일 좋습니다.

    붓기가 있을 때는 누운상태에서 다리를 올려서 거상시키면 붓기에 효과적입니다.

    통증이 심해지거나 붓는다면 응급실로 가서 엑스레이 등의 검사를 해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통증이 심하지 않고 많이 붓지 않다고 해도 몇 일은 무리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냉찜질을 좀 하고 집에서 쉬도록 해야 발목 인대가 잘 회복되어 다시 접지르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성훈 의사입니다.

    붓기나 통증이 심하지 않다면 휴식을 취하며 냉찜질과 진통소염제를 복용시켜보시기 바랍니다.

    만일 증상이 악화된다면 정형외과 진찰이 필요하겠습니다.


  • 집에서 취할 수 있는 조치로는 발목 보호대를 해주고 부드럽게 마사지를 해주고 찜질을 해주는 정도가 있겠습니다. 혹시 모르므로 정형외과에서 괜찮은지 검진 받아보는 것이 적절하긴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