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건강관리

식습관·식이요법

굉장한콘도르12
굉장한콘도르12

단백질 같은 경우에도 저녁에 먹으면 수면에 방해가 될까요?

얼핏 보니까 카페인 뿐만 아니라 단백질 같은 경우에도 수면에 방해가 된다고 하던데요 수면에 방해가 되는 이유는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단백질을 저녁에 과도하게 섭취하면 수면에 방해가 될 수 있습니다. 단백질은 소화 과정이 길고 복잡하여 위장이 밤새도록 활발하게 활동하게 만듭니다. 이로 인해 소화 부담이 커지고, 위장 불편함이 발생하여 깊은 잠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또한, 단백질이 풍부한 음식은 주로 티라민이라는 아미노산을 포함하고 있는데, 이는 교감신경을 활성화시켜 각성 상태를 유도할 수 있습니다. 수면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취침 2~3시간 전에는 과도한 단백질 섭취를 피하고, 소화가 잘 되는 가벼운 식사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따라서, 단백질 자체가 수면을 직접적으로 방해하는 성분은 아니지만, 늦은 시간에 과도하게 섭취하면 소화 부담으로 인하여 수면의 질을 떨어뜨릴 수 있습니다.

    1명 평가
  • 영향을 줄 수는 있으나 약한편입니다.

    단백질 섭취가 저녁 수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이유는 몇 가지 생리적 기전 때문입니다. 우선 단백질은 소화 과정에서 비교적 많은 에너지를 필요로 합니다. 소화기관이 활발히 작동하게되면 교감신경계가 자극되어서 체온이 올라가고 각성이 유지될 수 있어서 쉽게 잠들지 못하거나 숙면이 미약하게 방해되긴 합니다.

    특히 늦은 저녁 시간에 고단백 식사를 하면 위장에 부담이 커져서 위산 분비가 늘어나고 소화 시간이 길어지니 위장 불편감으로 인해 수면의 질 저하가 나타나기도 합니다.

    또한 단백질은 아미노산 대사를 통해 각성 신경전달물질인 티로신 > 도파민, 노르아드레날린의 전구체가 되기도 합니다.

    이 경우 뇌의 각성 시스템이 상대적으로 활성화되어서 잠이드는 과정을 늦출 수 있답니다. 반면에 트립토판같은 아미노산은 멜라토닌 합성에 기여해서 수면에 도움을 주기도 합니다만, 고단백 식사에서는 다른 아미노산과 경쟁으로 뇌 내 트립토판 농도가 상대적으로 낮아지기도 합니다. 그 결과 멜라토닌 합성이 제한되고 수면 리듬이 지연되기도 합니다.

    단백질 그 자체가 카페인처럼 직접 각성 효과를 내는것은 아니지만, 소화 부담, 교감신경 활성, 특정 아미노산 대사 경로때문에 결과적으로 수면을 방해할 수 있답니다. 따라서 저녁 늦게는 단백질 섭취를 과도하게 하기보다, 소화가 쉬운 가벼운 단백질 위주로 조절하는것이 좋겠습니다.

    답변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예은 영양전문가입니다.

    단백질과 지방은 소화력이 약하신 분들이 과도하게 섭취하면

    소화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기때문에 적당량 섭취하는 것이 수면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