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정형외과

제일활발한셰퍼드
제일활발한셰퍼드

허리 가운데 뼈통증+ 허리 왼쪽(기립근) 통증

성별
남성
나이대
30대

허리옆의 기립근쪽 통증은 단순 근육통이라 생각했는데 두세달 가까이 지났는데 호전이 안되고 있고 갑자기 허리 정가운데 뼈에도 통증이 생겼어요.

마치 그 뼈에만 염증이라도 생긴것마냥 손으로 살짝만 눌러도 참기 힘든 통증인데

가만히 있으면 안아픈데 허리를 숙이거나 직접적으로 만지면 통증이 느껴져요.

정형외과에서는 x-ray상 뼈에는 문제가 없다는데 무슨 증상인지 모르겠어요.

큰병원에서 ct나 mri를 찍어봐야 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

    허리 옆 기립근 쪽에 통증이 있고 수개월이 지속되고 있는 상황이며 최근에는 허리 정가운데 뼈를 누르면 날카로운 통증이 동반된다면 여러가지 문제를 의심해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근육이나 인대의 손상 또는 만성염증일 가능성이 있으며 또는 척추뼈 후관절 극돌기를 눌렀을 때 통증이 뚜렷하다면 후관절염 또는 극돌기 충돌증후군일 가능성도 존재하며 척추뼈 자체의 스트레스성 골절일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정확한 상태를 알 수 없기 때문에 가까운 병원에 방문하시어 상태 검사 받아보시고 상태에 맞는 치료 및 처치등을 받아보시는게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이동진 물리치료사입니다.

    허리 통증으로 불편이 있으시군요.

    좋지 않은 자세나 습관 등 허리에 부하를 주어 허리디스크 등 요추질환이 발생하여 통증이 발생하는 것일 수도 있습니다.

    통증이 지속되거나 심해지신다면 정형외과에서 필요에 따라 CT나 MRI, 초음파 등 정확한 진단을 받아보시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

    허리 가운데 뼈만 눌렀을 때 심한 통증이 느껴지고 움직일 때 통증이 생기는 경우에는 단순 근유통보다는 뼈나 주변 구조의 국소 손상 가능성을 생각할 수 있습니다. 엑스레이 에서 이상이 없더라도 골절 초기, 미세골절 디스크나 관절 문제 등은 보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통증이 가만히 있을 때는 없고 움직일 때만 나타나는 점을 고려하면 뼈뿐 아니라 인대 관절 추간판 관련 문제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현태 물리치료사입니다.

    구조적 이상이 없어도 주변 연부조직의 문제나 디스크 질환등에 의해 통증이나 불편감이 지속되실 수 있습니다.

    통증이 계속되어 일상생활에 지장이 있으시다면, 병원에 방문하셔서 추가적인 치료를 받아보시거나 정밀검사를 고려해보시는 것도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덕현 물리치료사입니다.

    허리뼈가운데쪽으로 통증과불편감이있다면 좀더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 MRI검사를 받아보는것이 좋습니다 엑스레이검사는 뼈의이상유무를 검사하는방법이기때문에 연부조직이나 신경등의문제의경우 MRI로 좀더 정확하게 확인해볼수있으니 가까운 종합병원이나 대학병원으로 내원해보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강록 물리치료사입니다.

    우선 현재로썬 단순 근육통으로 넘기기보단 정밀 검사를 해보시길 바랍니다.

    보통 지금과 같은 증상은 척추염증성 질환 또는 천장관절 증후군, 근막통증증후군을 의심 해볼 수 있습니다.

    지금과 같은 경우 일반적으로 물리치료, 약물치료, 주사치료, 도수치료 등 보존적인 치료를 하면서 경과를 지켜보시거나 척추관절 병원, 상급병원 등 내원하셔서 ct, mri 같은 정밀 검사를 권하기도 합니다.

    우선 치료를 꾸준히 해보시고 호전이 없다면 정밀 검사를 해보시길 권유드립니다.

    꾸준한 치료와 관리를 통해 건강히 회복 되시길 바랍니다^^

  • 큰 병원 가서 MRI 등 정밀 검사를 추가로 받아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X-ray 검사로는 뼈 외의 구조물에 대한 평가는 매우 제한적이며 자세하게 평가가 어렵습니다. 그렇지만 증상은 있으신 상황인 만큼 보다 정밀하게 검사를 해보아 근육, 인대, 디스크, 척수 등 다른 구조물들의 이상이 있는 것은 아닌지 파악하고 감별을 해보는 것이 도움이 될 수도 있을 것으로 사료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