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밤하늘의오로라
밤하늘의오로라

젖산 발효의 생선물로 만들어진 젖산은 어떠한 대사 과정을 거치나요?

안녕하세요. 산소가 부족한 환경에서는 해당 과정이라도 지속하여 두 분자의 ATP를 합성하기 위해서 젖산발효를 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는데요. 그 결과로 생성되는 젖산은 어떠한 대사 과정을 거쳐서 처리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젖산 발효로 생성된 젖산은 간으로 운반되어 코리 회로(Cori cycle)라는 대사 과정을 거칩니다. 간에 도착한 젖산은 다시 피루브산으로 전환되고, 이 피루브산은 포도당 신생합성(gluconeogenesis) 과정을 통해 포도당으로 합성됩니다. 이렇게 생성된 포도당은 혈액을 통해 다시 근육으로 운반되어 에너지원으로 사용되거나, 글리코겐 형태로 저장됩니다.

  • 젖산 발효를 통해 생성된 젖산은 주로 코리 회로를 통해 대사됩니다.

    코리 회로는 근육에서 생성된 젖산이 혈액을 타고 간으로 이동하여 포도당으로 재합성되는 대사 경로입니다.

    이 과정은 운동 후 산소 부족 상태에서 발생한 젖산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고, 다시 에너지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포도당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죠.

  • 안녕하세요. 질문해주신 것과 같이 운동 등으로 인해 근육 세포에 산소가 부족해지면 해당 과정에서 생성된 NADH를 다시 NAD⁺로 재생하기 위해 젖산 발효가 일어나고, 이때 젖산이 부산물로 축적되는데요 세포는 젖산을 그대로 방치하지 않고, 산소가 회복되거나 다른 조직으로 이동시키면서 처리합니다. 이때 혈액 속으로 확산된 젖산은 간으로 운반될 수 있는데요 간 세포에서는 젖산이 다시 피루브산으로 바뀌고, 이어서 포도당신생합성을 통해 포도당으로 전환되며, 이 포도당은 다시 혈액을 통해 근육으로 보내져 에너지원으로 쓰일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경로는 코리 회로라고 부릅니다. 이외에도 젖산은 단순한 노폐물이 아니라, 심장 근육 같은 고에너지 요구 조직에서는 즉각적인 연료로 활용되기도 하는데요, 이 경우 젖산은 피루브산으로 전환된 뒤 바로 TCA 회로로 들어가 에너지를 만들기도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