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아하에서 찾은 1,000건의 질문
- 부동산경제Q. 전세에서 월세로 변경 시 갱신계약인지 신규계약인지 여부안녕하세요.조만간 전세계약 만기가 다가오는데요.임대인이 전세에서 월세로 변경하고자 합니다.전세보증보험에 가입하려면 부동산 계약이 필요한데 임대인은 부동산 없이 계약을 원합니다.갱신계약일 경우 부동산 없이 전세보증보험 가입이 가능하다고 하는데 이 경우에 갱신계약일까요 신규계약일까요?그리고 기존 전세에서 전세금을 줄이고 월세로 변경하는 계약을 기존 부동산에서 다시 계약할 때에서 갱신계약인지 신규계약인지 궁금합니다. 신규 계약이라면 복비를 다시 내야 할까요?
- 부동산경제Q. 전세 → 월세 계약 변경 및 계약갱신청구 가능 여부 확인 요청현재 전세로 2년이 안 되게 살고 있습니다.계약갱신청구권을 사용할 예정이며,이때 전세 → 월세로 계약을 변경하면서 계약갱신청구권을 사용할 수 있나요?
- 부동산경제Q. 갱신계약서 사용 후 재계약 문의입니다오피스텔 전세 계약에 대한 내용인데요,2020년8월 ~ 2022년8월의 계약의 갱신계약으로 2022년8월 ~ 2024년8월 보증금 5%를 증액하는 계약서를 작성했습니다.2024년 8월에 전세에서 월세로 변경하려고 하는데,임대인이 월세로 전화을 원하지 않아하며전세로 재계약을 원할 시, 재계약 하지 않아도 될까요?임차인이 갱신계약서로 재계약 원할 경우,임대인은 재계약 할 수 밖에 없다고 들었는데갱신계약서를 이미 2022년8월 ~ 2024년8월 계약서에사용을 했기 때문에,임대인은 현 임차인과 재계약하지 않고다른 임차인과 재계약 해도 되는건가요?
- 부동산경제Q. 반전세에서 월세 변경 가능한가요~?안녕하세요.반전세 계약만료 이후 세입자 구하기전까지 월세 관련 문의드립니다.1. 상황.- 반전세 계약일 21. 05. 15 - 23. 05. 15- 문자로 연장계약: 23.1.18 (계약갱신청구권 사옹하고 월세만 올리기로 합의)- 만료 2주전 시세하락으로 월세 조정요청 하였으나 안되어 이사 나가기로 함.- 집주인은 다음 세입자가 구해져야 전세금을 돌려 줄 수 있다고 이야기하고 있음. (집주인은 매매는 생각하지 않고 있는 듯함)2. 문의사항. 1) 계약서를 작성하지 않고 문자상으로 주고 받은 것이 법적효력이 있는지 문의. 2) 현 상황에서 계약만료 이후 월세는 변경 전 월세를 내야하는지, 문자 합의한 상향된 월세를 내야하는지 문의. 3) 전세계약 해지통보를 만료전 1달이내로 한 상황이라 몇달까지 기다려야 법적소송에 문제가 없는지.법도 잘 모르고 혼란스러운 상황이라 답변 기다립니다.
- 부동산경제Q. 월세 기간 만료후 계약갱신청구권 행사 하려고 하는데요?안녕하세요 내년 3월 월세계약이 만료 될 예정입니다계약기간 2년후 묵시적갱신이 이뤄진 상태인데요며칠전에 집주인이 집을 판다고 하네요이럴경우 새주인이 들어와 살 수도 있고 전세 월세 등 변경 해서 집을 내놓을거 같은데요계약갱신청구권은 의미가 없는건가요?한 2년 정도 더 살았으면 싶거든요
- 부동산경제Q. 임대차 계약갱신청구권 행사할 수 있을까요??전세계약으로 최초 계약 2019.4 2021.4 임대인측에서 전세금 5% 인상 요청하여서 5%인상으로 2년 연장그리고 현재 임대인측에서 전세를 월세로 변경하고 싶다고 통보했습니다. 2개월전에 통보를 안했으니 시간을 3개월 더 줄테니 생각해보라는 상태입니다. 이 상황에서 저희가 21.4 임대차 계약갱신청구권을 행사했다고 보는걸까요 이번에 계약갱신청구권을 행사하고싶습니다. 답변 부탁드립니다
- 부동산경제Q. 아파트를 전세를 놓고 있다가 임차인인이 계약갱신 의사를 밝힌 경우 전세를 월세로 변경했을 경우 월세는 임대인이 정할 수 있는 건가요?아파트를 전세를 놓고 있다가 임차인인이 계약갱신 의사를 밝힌 경우 전세를 월세로 변경하고 그 임차인이 월세 전환을 동의했을 경우 월세는 임대인이 정할 수 있는 건가요?(전세 이자 보다 높게)
- 부동산·임대차법률Q. 전세 계약 갱신할 경우 꼭 공인중개사 끼고 해야하나요?이번에 전세 연장을 합니다. 제가 전세를 내 준 곳도 있고, 제가 임대해서 전세 살고 있는 곳도 있습니다. 둘 다 전세금 변동한 채로 계약 2년 연장하려고 합니다. 예 : 아파트 2억-> 5% 보증금 증액으로 갱신 아파트 2억 -> 1억 + 월세 50만원 변경으로 갱신 이렇게 전세금 변동이 있는데, 공인중개사 없이 기존 계약서에 특약사항을 추가하거나 표준임대차계약서 양식에 특약사항으로만 변동 내역 추가해서 갱신 계약서 쓰려는데 괜찮을가요? 공인중개사를 꼭 끼고 해야하는지, 끼고 하면 이점이 있는지 임차인으로써 뷸리한 점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 부동산경제Q. 전세 계약 갱신청구권에 대해 여쭙니다안녕하세요저희는 시내에서 원룸을 임대하고 있습니다이번에 2년전 계약해서 살던 방이 만료가 가까워 오고 있어서 질문 드립니다2년전 처음 그 방에 들어올때 임차인분이 은행에서 전세대출을 받고 들어오셨습니다그 임차인분이 갱신청구권을 사용하고 싶어하시는데요문제는 들어오실 때 1억 전세로 들어오셨는데 은행에서 대출 연장을 할려면 공시지가 * 126%로 해야 재연장이 가능하다고 했다고 합니다저렇게 공시지가에 126%를 하게 되면 8천만원 정도로 내려갑니다제가 궁금한것은 저렇게 되면 저희가 2천만원을 내줘야 하는데요2천만원을 내주고 대신 저 2천만원에 대해서 월세로 변경(약 8만원정도)을 하려고 합니다이럴때 저 임차인분이 동의를 안하고 월세를 줄수 없고 보증금 8천만원에 갱신권을 사용해서 재연장을 주장하면 임대인측은 받아줘야 하나요?아님 저희가 이 계약을 이번에 끝내고 이사를 나가달라고 주장해도 되나요?저희는 만약 저 임차인분이 저렇게 하면 계약 끝내고 새 임차인을 구하고 싶습니다그런데 이렇게 저 임차인분에게 고지를 해도 법적으로 문제가 안되는지 아님 문제가 되는지 알고 싶습니다
- 가압류·가처분법률Q. 전세계약 갱신청구권 관련 질문드립니다.안녕하세요 20년-22년 최초 전세계약 후 묵시적 연장하였고 24년 만기가 다가옵니다.집주인은 전세>월세로 변경하길 원하는데, 저는 지난 만기시기에 묵시연장으로 사용하지 않은 전세계약 갱신 청구권을 사용하여 전세로 연장하고자 합니다.1. 전세계약갱신청구권 행사시 전세>월세 전환도 거부할 수 있는지요?1-1. 거부할 수 있다면 관련 법령을 어디서 볼 수 있을까요?2. 전세계약갱신청구권은 1회 사용 가능으로 저의 사례에 경우 지난 만기는 묵시적 연장 되었으므로 현재 사용이 가능한걸로 알고있습니다. 이 부분 제가 맞게 알고있는걸까요?2-1. 해당 부분도 법령 어디를 찾아보면 알 수 있을까요?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