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법률
자격증
채무자(소유자)의 부동산이 경(공)매가 진행된다는 우편 송달을 제대로 못받아서 채무자 모르게 경매로 진행되는 경우 취하가 가능한지 여부
채무자에게 경매개시결정의 통지 없이 진행된 경매는 무효라고 할 것이므로 이후 낙찰 등 절차가 진행되어도 그 효력이 인정되지 않습니다.따라서 채무자로서는 위 경매 진행의 무효를 주장할 수 있습니다.위 취지를 고려하면 공매 역시 무효라고 이해하는 것이 타당해보입니다.
법률 /
가압류·가처분
23.11.24
0
0
경매 낙찰 후 인수되는 유치권과 인수되지 않는 유치권이 궁금합니다.
유치권이 적법히 성립되었다면 낙찰 시에 인수되는 것이 원칙입니다.다만, 유치권이 경매에 앞서 성립하였는가의 문제가 있는 것입니다.유치권은 목적물에 관하여 생긴 채권이 변제기에 있는 경우에 비로소 성립하므로, 그 변제기 도래를 포함한 성립요건이 압류나 경매개시결정의 기입등기 전이어야 적법히 성립하게 됩니다. 이외에 유치권 대상물과 채권 사이에 견련성이 인정되지 않으면 유치권이 성립할 수 없습니다.
법률 /
가압류·가처분
23.11.24
0
0
저좀 도와주세요...범죄자 되기 싫어요..
부모님 등 법정대리인에게 솔직하게 털어놓고 적절한 방법을 모색하시는 게 나을 겁니다. 아직 미성년자이시고 초범이시기에 자수하는 것이 양형면에서는 더욱 유리한 부분이 있습니다.
법률 /
재산범죄
23.11.24
0
0
공무집행방해죄로 법원에서 소환장 수령?
가격한 게 맞다면 공무집행방해죄에 해당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초범이라면 최대한 선처를 구해야 하고 이때 정상참작에 필요한 자료(반성문, 탄원서 등)를 제출하는 게 중요합니다.혼자서 진행이 어려우시면 변호인의 조력을 받으시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법률 /
성범죄
23.11.24
0
0
경매에서 낙찰 받을 때 가처분 인수 여부
선순위 가처분만 인수됩니다.그러나 후순위 가처분의 경우에도 건물이 토지에 대한 정당한 권리 없이 지어졌다면 토지소유자의 건물 철거 및 토지인도에 대한 가처분은 소멸하지 않습니다.
법률 /
가압류·가처분
23.11.24
0
0
미개봉 에어팟 각인, 환불 의무 있을까요?
에어팟에 대한 일반적인 소비자의 구매 의도를 고려하면 본인이 원하거나 의도하지 않은 각인이 기재되어 있다면 '하자'에 해당한다고 볼 여지도 있고 거래상 중요한 정보를 고지받지 않은 경우에 해당하므로 작성자 본인이 알지 못했다는 것과는 별개로 환불 대상이라고 보여집니다.
법률 /
민사
23.11.24
0
0
고등학생먼저 시비 폭행 합의금
합의금은 사건마다, 상황마다, 직업마다 천차만별입니다. 비교적 공무원신분인 경우 경한 처벌이 중요하고 또 상대방도 그걸 알기에 상대적으로 높은 합의금을 요구받게 됩니다.3명 다 해서 그 정도라면 적당해보입니다.국가공무원법에 따른 결격사유는 기본적으로는 벌금형은 일부 범죄를 제외하고는 금고 이상의 형이므로 위 사안이 공판에서 그 정도에 이르렀을지는 모르겠으나 조기에 종결한 게 바람직해보입니다.
법률 /
성범죄
23.11.24
0
0
길에 한쪽 구석에 잠깐 둔 물건을 다른 사람이 가져갔을 때 절도죄 혹은 점유물이탈횡령죄가 성립되나요?
위 물건을 거기에 전달목적으로 두었더라도 공공장소인 점을 고려하면 점유이탈물횡령죄에 해당할 여지가 있으나, 일단 위 부분에 대하여 범인을 특정할 단서를 마련하기 어렵고 상대방 입장에서도 무주물이라고 보아 가져갔다고 주장하면 혐의 입증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법률 /
재산범죄
23.11.24
0
0
변론기일 결정 후 상대측의 준비서면 부본
답변서 외에도 추가 주장을 준비서면으로 제출가능합니다. 본인판결문은 인용 및 입증자료로 제출도 가능합니다.경찰에서 혐의없음 처분을 받아 상대방이 이의하지 않았다면 그 불법행위를 근거로 한 손해배상청구 역시 고소인이 패소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법률 /
명예훼손·모욕
23.11.24
0
0
도둑으로 몰렸습니다 모욕죄 고소가능한가요?
모욕죄는 공연성이 모욕성 표현이 확인되지 않고 공연성도 1대1 대화라면 인정되기 어렵습니다.본사로 찾아오겠다는 건 협박죄에 해당할 수 있으나, 상대방이 정말로 그 지갑이 자기것이라고 믿고 그런 것이라면 고의가 인정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법률 /
지식재산권·IT
23.11.24
0
0
5923
5924
5925
5926
5927
5928
5929
5930
59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