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고경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고경훈 전문가입니다.
고경훈 전문가
대박행정사 및 공인중개사 사무소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경제
자격증
부동산
2024년 11월 28일 작성 됨
Q.
원룸 1년계약인데 아직 4개월 남았는데 갑자기 방을 빼라고 하는데 어떻게 해야할까요?
우선적으로 집주인이 요구한다겨 무작정 주소를 빼지 마시고 대출은행에 문의를 하여 계획되로 진행되는지 여부를 확인한 후 주소 이전여부를 판단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매우 위험한 상황에 직면할 수도 있습니다.
부동산
2024년 11월 28일 작성 됨
Q.
여의도, 목동, 압구정등 토지거래허가구역이 해제 될 가능성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여의도나 목동, 압구정동등 토지거래허가구역이 내년엔 해제가 될 가능성이 있을까요? 집값이 폭등할듯한 느낌이라 계속 유지시킬까요?==> 현재로서는 토지거래허가지역이 풀릴 가능성이 거의 없습니다. 이 지역 부동산 상승세가 타지역에 미치는 영향도 크기 때문입니다. 또한 최근 개발제한구역 해지 및 신통기획 등으로 인한 사업지가 늘어나면서 토지거래허가 구역도 점차 증가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부동산
2024년 11월 28일 작성 됨
Q.
재택부업을 할만한게 뭐가있을까??
요즘 물가도 넘 오르고 월급만으론 너무빠듯하고 퇴근후 집에서 간단히 소소하게 할만한 부업이 뭐가있을까요?? 넘 시간이 오래안걸릴만한..== > 재택 부업으로 적한 업종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주요 업종으로 프리랜서 작업, 온라인 교육, 적자상거래, 가상 비서, 소셜 미디어 관리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업종 중에서도 질문자님의 특성 등을 고려하여 결정해야 하는 사항입니다
부동산
2024년 11월 28일 작성 됨
Q.
서울 곳곳에 집값이 하락하는데 오늘 금리 인하 발표를 했잖아요. 앞으로의 전망도 부탁드립니다.
뉴스를 보니 서울 곳곳이 집값이 하락하고 있다고 나옵니다. 오늘 갑자기 금리가 인하된다는 발표를 하던데 앞으로 집값이 이 금리의 영향을 받아 다시 반등이 될까요?==> 금리인하는 부동산 가격상승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의 취임으로 자국 우선주의 정책, 미국 기준금리 유지 및 국내 내수 경기악화가 되고 있는 만큼 큰 영향이 없을 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현재로서는 시간을 가지고 기다려 보시는 수 밖에 없습니다.
부동산
2024년 11월 28일 작성 됨
Q.
부동산 폭등때 더 살아 더 살아 난리 쳤던 기득권들 언론사들 그들에게 속은 영끌러들
이제 팔리지도 않은 가격대 비틀어지고 버티기 작전 하다가 경매 넘어가고 급매 내놓는 사람들도 파다하다고 하는데요 이곳은 영끌로들이 잘못한 건가요 아니면 사기 치는 사람들이 잘못한 건가요 부추긴 사람들이 잘못한 건가요==> 가능 큰 이유는 부동산 경기 급락으로 인해서 발생된 문제라고 할 수 있습니다. 부추긴 사람도 영끌을 한 사람도 과시링 없습니다.
부동산
2024년 11월 28일 작성 됨
Q.
부동산 궁금해서 그러는데요.. 시세가 왜이렇게 지멋대로인거죠?
1억5-6천 집이 갑자기 1억 2천에팔리고 정보는 떠잇는데ㅜ어디서 어떻게판건진 전혀정보가없고..왜이렇게 주식처럼 아파트가격이 변동이 심한건가요?==> 일반적으로 오래된 주택은 내수 상태, 층고 등에 따라 가격차이가 높게 형셩될 수 있습니다. 아마도 상기 거래사례도 그러한 영향이 있을 것으로 보이고 그렇지 않는 경우 특수관계에 의한 거래일 가능성도 높아 보입니다.
부동산
2024년 11월 28일 작성 됨
Q.
우리나라 기준금리를 0.5 깜짝인하를했다고
우리나라의 기준금리가 0.5%깜짝인하를 단행했는데이번 금리인해가 대출금리인하로. 이어져서 부동산시장에 활기가 돌게될지 궁금합니다==> 오늘 한국은행 기준금리가 인하되었지만 최근 내수경기가 악화되었고 트럼프 대통령이 내년 1월에 취임을 하면 보호무역주의 정책을 펴면서 미국 기준금리를 동결시키는 경우 부동산 시장 등에 큰 영향이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부동산
2024년 11월 28일 작성 됨
Q.
한국은행의 오늘 금리인하는 부동산, 주식에 어떤 영향을 줄까요?
오늘 한국은행이 갑자기 0.25프로 금리인하를 단행했습니다. 시장의 예상을 깬 파격 행보인데 향후 부동산, 주식에 어떤 영향을 줄까요?==> 금리 인하는 부동산, 주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국내 내수 경기는 최악인 만큼 당분간 큰 영향이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아마도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전까지 눈여겨 봐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부동산
2024년 11월 28일 작성 됨
Q.
반전세 계약갱신청구권사용시 5프로 인상에 대해서 무조껀 집주인의 조건대로 행해야 하는건가요?
제가 허그 버팀목으로 1억7천에 월세5 관리비10으로 임대사업자인 집주인이랑 계약을 했는었는데 계약끝나기 3달 조금 안남은 시점에서 지금 재계약조건이 1억7천에 월세 8만9천원 관리비 10으로 부동산에서 재계약을 물어봐서 연장이 어려울꺼같다고 말했구 3일뒤에 다시 재계약을 하겠다고 했는데 1억6천에 월세13에 관리비10으로 아니면 안하겠다고 하시네요 그래서 고민해보고 답변을 한 상태인데 알아보다가 계약갱신청구권을 알게 되서 알아보니 계약갱신청구권을 사용하는데 지금 조건에서 5프로 인상을하는 입장에서 무조건 집주인의 요구대로 행해야 하는건지 물어보고 싶어서 이렇게 글을 적습니다 적절한 조치를 알려주세요==> 질문자님께서 임대차계약기간 중 계약갱신 청구권을 행사하지 않았다면 이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기존 보증긍 또는 월세 중 5% 범위 내에서만 인상가능하고 이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임차인으로서 임대인의 요구를 거절할 수가 있습니다.
부동산
2024년 11월 28일 작성 됨
Q.
분양에 실패한 아파트들은 어떻게 되나요?
최근 분양가가 많이 올라 인기없는 지역은 미분양 아파트가 속출하고 있는데요. 만약 미분양률이 높아 아파트가 남아돌게 되면 건설사가 손해가 극심할텐데 어떻게 되나요?==> 이러한 경우 건설사도 부실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미분양 아파트를 급매로 처리하거나 아니면 임대용 주택으로 활용하는 등 최악의 상황에 대비하여 응급조치계획을 취하게 됩니다.
511
512
513
514
51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