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사진주의) 흑변여부가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나영 의사입니다.흑변은 위장관 상부에서 출혈 시 혈액이 소화되면서 끈적하고 악취가 나며 검은 타르처럼 변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현재 검사에서 위내시경, CT, 혈액검사가 모두 정상이었으므로 상부위장관 출혈 가능성이 낮습니다. 복용 약 중 철분제나 비스무트제, 마그밀, 활성탄 등이 포함되어있다면 흑변 유발 가능성이 있습니다. 섭취 식품 중에도 해조류, 블루베리, 검은깨, 시금치 등도 일시적으로 색을 변하게 할 수 있습니다. 이 외에 어지럼증이나 식욕저하, 창백함, 혈압저하 등이 동반될 경우 출혈을 좀 더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흑색변은 진하고 끈적하며 강한 악취를 동반하는 것이 특징인데 사진상으로는 딱딱해보입니다. 변비나 약, 식품 등으로 인한 색 변화 가능성이 있으며 기능성 위장장애나 과민성대장증후군 가능성 또한 있습니다. 간혹 소량의 위 출혈은 검사에서 잘 나타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변 색이 3일 이상 지속적으로 흑색으로 유지되는 경우, 속쓰림이나 구토, 체중감소가 동반되는 경우, 약이나 식품 등을 제한해도 변이 계속 검게 나오는 경우, 갈비뼈 아래 통증이 식후 심화되며 지속될 때에는 재내원이 필요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Q. 대표적인 심장질환으로 무엇이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나영 의사입니다.대표적인 심질환으로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먼저 협심증, 심근경색 등의 관상동맥질환입니다. 조이듯이 아픈 흉통과 식은땀, 팔 저림, 운동 시 악화, 휴식 시 완화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다음으로 심방세동이나 조기수축 등의 부정맥입니다. 심장이 뛰다 말다 하는 느낌이나 두근거림, 어지럼증, 실신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 고혈압성 심질환이 있습니다. 고혈압이 오래되면 좌심실 비대가 올 수 있고 이는 두통이나 흉통, 피로감 등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심부전 초기에는 계단을 오를 때 숨차고 피곤함, 발목 부종, 야간의 잦은 소변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주의해야 할 증상으로는 심장이 과도하게 두근거리거나 갑자기 발생하는 호흡곤란, 가슴압박감 등입니다. 이 경우 심장내과에서 진료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혈압이나 혈당, 지질수치 등도 잘 관리하셔야 합니다. 병원 검사 권장 항목으로는 심전도, 심초음파, 24시간 홀터 심전도, 혈액검사(지질, 당 등) 등이 있겠습니다.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Q. 관절낭 유착은 어떤 치료를 받아야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나영 의사입니다.우선은 정형외과에서 정확한 진단을 받고 그에 맞는 치료를 받으셔야 겠습니다. 관절낭 유착은 관절을 둘러싸는 관절낭이 염증, 섬유화 등으로 두꺼워지고 유착되어 관절 움직임이 제한되고 통증이 생기는 상태를 말합니다. 대표적인 예로 어깨에 생기면 오십견 등으로 불립니다. 병원에 방문시 x-ray, 초음파, mri 등으로 관절낭 상태와 유착 범위, 운동범위를 확인하게 됩니다. 치료로는 소염진통제, 근이완제 등의 약물치료와 관절내 염증을 억제하기 위한 스테로이드 주사를 제한적으로 시도해볼 수 있습니다. 점진적인 운동범위 회복을 위해 물리치료나 도수치료를 진행할 수 있고, 유착 부위 조직 유연화를 위해 온찜질 등이 가능합니다. 보존치료에 반응이 없으면 해당 관절 마취 후 수동으로 관절가동범위를 늘리는 관절낭 수동이완술이나, 수술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신경과·신경외과
Q. 하지방사통을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나영 의사입니다.하지방사통은 요추추간판탈출증 등으로 다리로 가는 신경이 압박되거나 자극을 받아서, 엉덩이부터 다리까지 이어지는 찌릿하거나 당기는 통증이 특징입니다.고양이-소자세나 슬개근 스트레칭, 햄스트링 스트레칭 등으로 다리 근육을 부드럽게 풀어주는 스트레칭이 도움이 됩니다. 무릎을 들어올리거나 다리를 뒤로 넘기는 동작, 허리를 과도하게 젖히는 동작 등은 허리에 무리를 주므로 피해야 합니다. 엉덩이 깊은 부위 긴장된 근육을 풀어주는 마사지나 도수치료 등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단 통증 부위가 너무 예민하거나 찌릿한 통증이 있을 때는 직접적인 강한 마사지는 자제하는 것이 좋습니다.가공식품, 정제 탄수화물, 설탕, 포화지방은 염증 악화 가능성이 있으므로 피하시고 균형잡힌 식단을 유지하시기 바랍니다. 이부프로펜이나 나프록센 등의 NSAID, 가바펜틴이나 프레가발린 등의 신경통약이 도움이 됩니다. 생활습관 교정이나 약물치료로 호전이 없는 경우 경막외신경차단술 등 주사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Q. 심전도 그래프가 이상한데 봐주실분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나영 의사입니다.웨어러블 기기를 통해 기록된 것으로 보이며 평균 심박수는 79bpm, 7초 전후 심전도 이상파형이 보입니다. 군데군데 심실조기수축 양상 보이며, 노이즈처럼 보이는 부분은 검사상 움직임에 의한 오류로 보입니다. 심실조기수축은 젊은 연령에서도 나타나는 부정맥으로 피로나 카페인, 스트레스, 수면 부족 등과 관련이 있습니다. 증상이 없다면 관찰할 정도로 흔한 부정맥이나 현재 두통이 있고 몸에 힘이 없다면 말씀하신대로 병원 정밀검사가 필요합니다.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