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중국과 미국이 높은 관세율에 합의한다면 한국 기업은 어떤 부담을 지나요
안녕하세요. 김주봉 관세사입니다.미국은 중국과의 무역합의 기간을 3개월 더 연장하여 계속 진행하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보호무역 및 관세부과의 시작이 중국때문이였던 만큼 중국과의 무역합의에서 도출되는 관세율은 한국/일본/EU와 절대로 같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며, 더 높게 설정될것으로 보여집니다.예를들어 중국이 20~30%의 관세율로 합의가 된다면 우리나라 입장에서는 가격 경쟁력이 생겨 다소 유리해질것으로 보여집니다. 다만, 중국은 워낙 가격경쟁력이 있는 업체들이 많아 추가관세율로 우리나라가 크게 유리할지는 실익을 따져봐야할 것으로 보여집니다.또한, 중국 현지에 해외법인 및 공장이 있는 업체의 경우도 있어 해당 업체 입장에서는 합의로 인해 안정성을 확보하게 되어 미국으로의 수출이 재개 및 조정될 수 있어 우리나라 입장에서는 중국이 최대한 높은 관세율로 합의되는것이 좋지 않을까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감사합니다.
Q. 온실가스의 감축설비에 대한 HS 신설될까요?
안녕하세요. 김주봉 관세사입니다.품목분류는 제품의 기능과 특성 등을 파악하여 통칙, 주규정, 호해설서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하는 절차를 거쳐 부여됩니다. 아무래도 거래량이 많아지면 품목분류표에 특게되어 편하게 분류할 수 있지만 현재는 온실가스 감축설비로 따로 지정된 코드는 없는 상황입니다.현재 HS 2022 버전의 관세율표를 사용하고 있으며, HS 2027 또는 2028로 개정이 예상되며 탄소감축도 상당한 이슈가 있다보니 신설이 고려될 확률도 높다고 보여지므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