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김창희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희 전문가입니다.

김창희 전문가
(주)네추럴웨이
식습관·식이요법
식습관·식이요법 이미지
Q.  마라탕은 어떠한 성분으로 인해, 인체에 좋지 않다고 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크게 2가지 측면 때문입니다.1) 자극: 마라탕의 경우 매운 맛과 짠 맛이 함께 공존합니다. 다만, 이 수준이 적당한 수준이 아니라 굉장히 높습니다. 그래서 자극이 있는 경우 위와 장의 점막 파괴, 위염, 역류성 식도염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한번 또는 두번 정도는 그냥 그런데로 먹을 수 있으나 지속이 되면 속을 버리게 됩니다. 특히, 짠 맛의 경우 혈압을 상승시킬 수 있습니다.2) 기름: 마라탕에는 기름이 많습니다. 특히, 고추기름이 들어갑니다. 이러한 기름을 다량 섭취하게 되면 혈액 내에 중성지방의 함량 증가와, LDL-콜레스테롤 등의 증가로 심혈관계 질환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심장 등에 부담을 줄 수 있습니다. 지방의 경우에는 칼로리가 높아서 비만을 유발할 수도 있습니다.이러한 이유로 건강에 좋지 않습니다.참고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다이어트 식단
다이어트 식단 이미지
Q.  아침 식사로 저당 두유 400ml 정도 어떤가요?
안녕하세요. 나쁘지 않습니다.저당 두유에는 당은 적고 단백질과 식이섬유가 많아서 포만감 유지에 도움이 됩니다. 다만 400 mL 한개로는 아침의 영양소 공급에 있어서 부족할 수 있습니다.이럴 때, 그릭 요거트, 달걀(동물성 단백질), 과일(껍질과 함께_ex) 사과) 등의 섭취가 도움이 됩니다.쉽게 섭취가 가능하고 편의성 또한 우수합니다.감사합니다.
식습관·식이요법
식습관·식이요법 이미지
Q.  하루에 물은 얼마나 마시는 것이 좋나요?
안녕하세요하루에 보통 물을 2 L 마시는 것이 좋다고 알려져 있습니다다만, 이 2L에는 숨은 의미까지 포함되어 있습니다.우리가 밥(국 등 / 야채 반찬 등에도 포함)을 먹거나 커피를 마시거나 음료를 마시거나...등등에도어느 정도의 수분이 있어서 매일 2L를 챙겨마실 필요는 없습니다.중요한 것은 양이라기 보다는 습관입니다.충분한 습관을 가지고 생각이 날 때마다 조금씩 마시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부피를 측정하는 것도 하나의 "스트레스"로 될 수 있습니다.또한, 너무 많은 양을 한번에 마시면 부작용(물 중독)이 생길 수 있어서 조심해야합니다.참고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영유아·아동 식단
영유아·아동 식단 이미지
Q.  식사량을 늘려가는 좋은 방법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조금씩 늘리는 것이 좋습니다.말씀하신 것처럼 무작정 늘리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가령, 밥을 한 숟갈 더 준다거나, 주먹밥을 만들어준다거나아니면 맛이 있는 반찬을 준다거나 등등의 방법이 필요합니다.다만, 아이들의 식사량에는 늘 언제나 차이가 있기는 마련입니다.어떨 때는 굉장히 많이 먹고, 어떨 때는 굉장히 적게 먹습니다.(저희집 아들들을 보면 너무 극명확해서...)밥을 많이 먹도록 하는 것은간식을 확 줄이고, 많이 뛰어 노는 것이 정말 좋습니다.그러면 배가 고파서 알아서 많이 찾게 되더라고요평소에 먹지 않던 것 까지도 엄청 잘 먹습니다.너무 걱정하지 마시고 차근차근 하나씩 실천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감사합니다.
식습관·식이요법
식습관·식이요법 이미지
Q.  아침에 믹서로 과일 갈아먹는거 어떤가요?
안녕하세요. 깍아서 먹는 거랑 주스로 먹는거랑 비교하면깍아서 먹는 것이 좋습니다.그 이유는 혈당 때문입니다.사과, 키위 등 아침에 먹기에 좋은 음식은 맞습니다.다만, 당이 들어다는 점에 있어서 차이가 나뉩니다.보통 깍아서 먹으면 혈당이 급격하게 오르지 않습니다.그 이유는 당이 소화를 하는 과정에서 천천히 빠져나와 흡수되기 때문입니다.반면, 주스의 경우이미 한번 갈았기 때문에 상당히 많은 양의 당이 수분에 녹아져 있습니다.그래서 소화도 필요없이 바로 흡수됩니다.이러한 주스의 특성으로 인해서 공복의 잦은 섭취는 혈당 스파이크를 야기하고, 이 혈당 스파이크는 결국 당뇨와 연결되게 됩니다.따라서,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그냥 깍아서 드시는 것이 건강 상에는 좋습니다.감사합니다.
환자 식단
환자 식단 이미지
Q.  금단 현상에는 어떤 것들이 잇는건가요?!!
안녕하세요. 담배를 한번에 금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조금씩 줄이는 것은 생각보다 어렵습니다. 타협하기 쉽거든요금단증상으로는니코틴 욕구 증가불안, 초조, 집중력 저하우울, 짜증, 분노식욕 및 체중 증가소화불편 및 기침과 목 가래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초기 2~3일이 가장 심하고, 1~2주 뒤에는 우울 등의 기분 변화가 두드러집니다.그 후에는 점점 완화되기는 합니다만 이는 사람마다 편차가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기타 영양상담
기타 영양상담 이미지
Q.  카레를 많이 먹으면 뇌가 젊어진다는 말이 있던 데 그 연유가 무엇때문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카레의 주 성분인 curcumin 때문입니다. 커큐민은 카레의 노란색을 나타내는 성분이자 대표성분입니다.이미 커큐민에 대한 연구는 너무 너무 많이 되어 있어서 그 효능에 대해서는 아무도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커큐민은 항산화, 항염은 물론이거니와 항비만과 항당뇨에도 좋습니다.국내에서는 숙취해소와 근육 건강에도 좋다고 알려져 있습니다.이러한 항산화와 항염은 뇌의 노화 진행을 지연시킵니다.특히, 산화적스트레는 세포의 노화를 빠르게 진행시키는데 커큐민은 이러한 효과를 상쇄합니다.다만, 커큐민은 물에 잘 녹지 않기 때문에 음료로써 커큐민을 섭취하는 것은 그 효과의 측면에서 현저하게 떨어질 수 있습니다.(음료로된 커큐민은 드시지 않을 것을 추천합니다.)감사합니다.
식습관·식이요법
식습관·식이요법 이미지
Q.  아침을 먹고 안먹고가 건강에 영향을 끼치나요??
안녕하세요.그렇지 않습니다.(저도 안 먹은지 몇 년은 됩니다.)아침을 안 먹는다고 하여 건강에 이상이 생기지는 않습니다.단, 아침을 거르기 때문에 남은 점심과 저녁을 영양적으로 균형있는 식단으로 구성하는 것이 좋습니다.아침을 먹는 이유는 활력과 에너지 때문입니다.밤 시간이 지나면 배가 고파지고 에너지가 떨어지는 것이 사실입니다.그런데, 일반적으로 아침 이후에는 일을 하거나 공부를 하거나 등등 삶을 영위하기 때문에 에너지가 필요합니다.그래서, 이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해서, 그리고 효율적인 삶을 위해서 아침을 먹습니다.아침을 거스른다고 반드시 건강에 이상 신호가 오는 것은 아닙니다.감사합니다.
기타 영양상담
기타 영양상담 이미지
Q.  레몬 수가 인기라고 하던데 부작용도 많다고 하더라구요
안녕하세요레몬 수 자체는 독성이 있거나 하지 않습니다.문제는 레몬의 특징인 "산도"에 있습니다.레몬수의 산도는 일반 음료의 비해서 매우 낮습니다.이러한 특징으로 레몬수를 마시면 위의 산도가 높아져서 1) 위산의 과다 분비2) 위 점막 자극등의 현상이 나타납니다. 이로 인해서 역류성 식도염, 위염 및 위 궤양(극단적으로), 소화불량, 속쓰림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즉, 소화기관(특히 위)에 손상이 가해집니다.특히, 이러한 현상은 공복일 때에 더 많이 나타납니다.섭취는 하루에 1잔 또는 1포가 적당합니다.그리고 공복인 상태보다는 어느 정도 배가 찬 상태에서 섭취하는 것이 좋으며한번에 다 마시는 것보다는 천천히 조금씩 마시는 것이 좋습니다.감사합니다.
식습관·식이요법
식습관·식이요법 이미지
Q.  한국인의 나트륨 섭취량이 다른 나라에 비해 높다고 하는데 사실인가요?
안녕하세요. 맞습니다.우리나라는 국과 반찬 + 발효 문화 때문에 그렇습니다.국과 반찬의 간을 맞추기 위해서 소금, 간장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이 때, 나트륨이 다량 들어가기 때문에 하루 섭취량을 초과합니다.또한 발효식품을 만들 때도 어느 정도의 나트륨이 들어갑니다.젖갈 등을 생각할 수 있습니다. 이는 보관 기간을 길게 하는 특징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문화가 정착되어 있습니다.그래서, 가급적 식사를 할 때 국을 다 먹지 않거나 반찬을 조금만 먹는 등의 조치가 필요합니다.집에서 조리할 때는 간을 하지 않는 방법도 있습니다.감사합니다.
111213141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