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K-팝 문화 확산이 우리나라 무역이나 소비재 산업에 어떤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나요?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K-팝이 해외에서 터지니까 자연스럽게 한국 브랜드 이미지도 같이 좋아지고, 그 덕에 화장품이나 라면 같은 소비재들이 K-컬처 타고 같이 팔려나가는 구조가 만들어졌습니다. 예전엔 제품 품질로만 승부 봤다면 이제는 BTS나 블랙핑크 같은 아이돌이 입거나 먹는 거 하나로 바로 관심 몰리는 식입니다. 기업들도 아예 아이돌 콜라보 마케팅 하거나 현지 팬 타깃 맞춰 패키지, 맛, 광고 다르게 내놓는 등 문화파워를 전략적으로 써먹고 있는 분위기입니다.
Q. 우리나라와 미국의 관세협정 협상이 잘 이뤄질 수 있을까?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미국이 자국 산업 우선 원칙을 강하게 밀고 있어서 협상이 쉽진 않겠지만, 그래도 우리나라는 FTA 기반도 있고 자동차나 반도체 같은 전략 품목에서 협상 카드가 아예 없는 건 아닙니다. 일본과 비교해 더 나은 조건을 이끌어내긴 쉽지 않지만, 동등 수준은 기술력이나 투자 측면에서 설득 여지는 있습니다. 만약 철강이나 자동차 쪽에 다시 보복관세가 붙게 되면 수출기업들 부담 커지고, 중소 부품사들까지 연쇄 타격 갈 수 있어 전체 공급망 흔들릴 수 있다는 게 제일 걱정되는 부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