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2024년1월부터2024년5월7일까지 연차수당은 얼마일까요
안녕하세요. 안민선 노무사입니다.질의에 대한 답변드립니다.[질의]2022년5월2일입사해서2024년5월7일 퇴사를했습니다 2022년2023년연차수당은 지급받았습니다 2024년5월7일퇴사했는데요 1월부터5월7일까지 연차수당이 궁금합니다?[답변]입사일을 기준으로 하는지, 회계일을 기준으로 하는지에 따라 조금 상이해질 수는 있으나,회계일을 기준으로 하는 경우 2024.1.1.자, 입사일을 기준으로 하는 경우에는 2024. 5. 2.자로 동일하게 15개의 연차휴가가 발생합니다. 다만, 중도 퇴직시에는 회사가 입사일 기준에 미달하는 연차휴가일수를 수당 등으로 보상해야 하는데 '5일'로 계산됩니다.👩⚖️답변이 도움되셨다면 하단에 '좋아요👍'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Q. 온라인 화상과외 플랫폼 강사의 계약 만료 전 퇴사 통보 시 져야 하는 책임
안녕하세요. 안민선 노무사입니다.질의에 대한 답변드립니다.[질의]사진은 그 계약서 중 손해배상청구와 계약의 해지에 관한 부분인데 이 계약에서 제가 기본 계약 기간인 7개월 전에 퇴사 통보를 하게 되면 손해배상청구를 하거나 위약금을 물게 될 수 있는 조항이 있을까요? 기본 수업일은 3개월분으로 책정이 되어있고 현재 한달분 수업만 끝난 상태입니다. 6번에서 퇴사 결정 시 남은 수업을 다 해야된다고 쓰여있었는데 그러면 두달분을 마저 하고 퇴사해야하는 걸까요?이 계약서에 대해 자세한 해석이 필요합니다.[답변]실제 손해가 발생한 경우 손해배상청구가 가능할 것이지만, 본 계약서 조항만을 바탕으로 판단해보면 제5조 제4항에서 '환불 등 민원 발생 시'라고 하며 손해배상청구의 사유를 들고 있습니다. 따라서, 민원 제기가 발생하지 않도록 게약 상대방과 계약 종료에 대해 원만히 협의하심이 좋을 것 같습니다.또한, 제6조에서 '원칙'은 잔여 수업을 마치고 퇴사하기로 정해져있긴 하나, 이 역시 상대방과 협의 가능한 사안으로 생각됩니다.👩⚖️답변이 도움되셨다면 하단에 '좋아요👍'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