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1년에 월급이 몇 %씩 오르는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안민선 노무사입니다.질의에 대한 답변드립니다.[질의]저희가 직장을 다니면서 직장생활을 하면서 월급이라는 보상을 받는데 월급은 항상 조금씩이라도 1년마다 오르잖아요? 문뜩 궁금해 져서 그러는데 법적으로 1년마다 기본 얼마씩 오르는 건지 아시는 분은 알려주세요.[답변]임금 인상률에 대해 법적으로 정해진 바 없습니다.다만, 최저임금법에 따른 최저임금은 매년 인상되는데, 인상률은 상이합니다.참고로, 2024년 최저시급은 작년 대비 2.5% 인상된 9,860원입니다.👩⚖️답변이 도움되셨다면 하단에 '추천'과 '좋아요👍 '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Q. 어린이날 빨간날 대체휴무는 무조건 주나요?
안녕하세요. 안민선 노무사입니다.질의에 대한 답변드립니다.[질의]회사에서 어린이날이 주말에 껴있다면 월요일날 대체휴무를 제공 해야하는가요? 만약에 그렇지 않다면 근무시 수당으로 지급하나요?[답변]공휴일이 주말과 겹치는 경우, 대체공휴일을 부여합니다.대체공휴일 역시 공휴일법에 따른 공휴일에 해당하므로 법정휴일입니다.따라서, 대체공휴일에 근무를 한 경우에도 수당이 발생합니다. [관련법령]공휴일법 제3조(대체공휴일) ① 제2조에 따른 공휴일이 토요일이나 일요일, 다른 공휴일과 겹칠 경우에는 대체공휴일로 지정하여 운영할 수 있다.👩⚖️답변이 도움되셨다면 하단에 '추천'과 '좋아요👍 '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Q. 알바생 해고예고수당 계산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안민선 노무사입니다.질의에 대한 답변드립니다.[질의]주2회 14일 근무한 알바생의 경우 해고예고수당 계산을 하면 얼마를 받아야 맞나요?주말근무로 하루 출근할 때마다 7시간을 근무합니다.[답변]근로기준법 제26조에 따르면,30일분 이상의 통상임금을 지급하여야한다고 규정하고 있으므로통상임금을 산출하여 30일을 곱하여 지급하면 됩니다.다만, 계속 근로한 기간이 3개월 미만인 경우 해고예고에 관한 규정이 적용되지 않는다는 점 참고 부탁드립니다.[관련법령]근로기준법 제26조(해고의 예고) 사용자는 근로자를 해고(경영상 이유에 의한 해고를 포함한다)하려면 적어도 30일 전에 예고를 하여야 하고, 30일 전에 예고를 하지 아니하였을 때에는 30일분 이상의 통상임금을 지급하여야 한다. 다만,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1. 근로자가 계속 근로한 기간이 3개월 미만인 경우2. 천재ㆍ사변, 그 밖의 부득이한 사유로 사업을 계속하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3. 근로자가 고의로 사업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거나 재산상 손해를 끼친 경우로서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답변이 도움되셨다면 하단에 '추천'과 '좋아요👍 '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Q. 해고예고수당 합의금 법으로 정해져있나요 ?
안녕하세요. 안민선 노무사입니다.질의에 대한 답변드립니다.[질의]해고예고수당 합의금 법으로 정해져있나요 ?[답변]근로기준법 제26조에 따르면,해고예고수당은 30일분 이상의 통상임금을 지급하도록 되어 있기에,귀 하의 통상임금을 산출한 뒤 30을 곱한 수당이 지급되어야함이 타당합니다.[관련법령]근로기준법 제26조(해고의 예고) 사용자는 근로자를 해고(경영상 이유에 의한 해고를 포함한다)하려면 적어도 30일 전에 예고를 하여야 하고, 30일 전에 예고를 하지 아니하였을 때에는 30일분 이상의 통상임금을 지급하여야 한다.👩⚖️답변이 도움되셨다면 하단에 '추천'과 '좋아요👍 '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