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오피스텔 월세 계약 임차인이 넣어야 할 특약 질문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제한물권이 발생할 경우 임차인은 계약을 해제할 수 있다라는 표현으로 조금 더 명확히 해도 좋습니다,임대인이 협조를 미루는 사례도 있어, 가입 신청일 기준 7일 이내 협조하지 않을 경우 계약 해제 가능 같은 기한 설정이 실효성을 높입니다현재 조항은 굉장히 우수하고 체계적입니다보완점 일부 조항에 기한,문구를 명확히 하면 더 좋습니다계약을 하게될 부동산과 협의를 잘해서 계약하시기 바랍니다
Q. 아파트 관리업체 입찰 PT시 어떤것들을 중점적으로 봐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가격만 보고 결정은 안하시는게 좋습니다지나치게 낮은 단가는 이후 인력 이탈, 관리 부실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지나치게 보여주기식 PT는 경계하고 화려한 슬라이드보다 실제 이행 가능성 있는 실행력이 중요할거 같습니다현장실무진의 품질이 핵심이고 본사 직원이 아닌, 실제 투입되는 소장/팀장의 능력이 중요합니다아파트 관리업체 PT는 눈에 보이는 발표보다 실제 운영 능력, 책임감, 소통력을 중심으로 평가해야 합니다 특히 우리 단지의 특성과 맞는 인력 운영 계획과 민원 대응 체계, 비용 투명성은 반드시 체크해야 할 핵심 요소입니다
Q. 신축 전세로 들어가는 경우 위험한가요 ?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이런상황에서 꼭 확인해야 할서류1. 분양계약서 사본집주인이 실분양자인지 확인 (명의 도용 여부 방지)2. 분양대금 완납증명서분양자가 건설사에 분양대금을 전액 납부했는지 확인아직 완납 안 된 경우 → 향후 소유권 등기이전이 지연될 수 있음3. 등기예정일 및 소유권이전계획서시행사 또는 시공사에서 발급언제 등기가 될지,집주인 명의로 정확히 등기될 것인지 확인4. 전세보증금 반환보증 가입 가능 여부HUG(주택도시보증공사) 또는SGI서울보증에 가입 가능한지 꼭 확인가입이 가능하면 위험은 상당히 줄어듦5. 임대차계약서 + 전입신고 + 확정일자등기 후엔 필수등기 전이라도 가능한 한 빨리 진행해야 대항력 확보에 도움이 됩니다등기 전 신축 전세는 리스크가 존재합니다 등기까지 1년 이상 남았다면, 대출·채권문제 등으로 인한 우선순위 밀릴수 있습니다보증금 손실 가능성이 존재할 수 있고 하지만 전세보증보험 가입이 가능하고, 분양대금 완납 + 안전한 계약서 작성이 된다면 어느 정도 리스크는 낮출 수 있습니다확인을 잘해서 계약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