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2022년 7월에입사했어요 연차갯수가 어떻게되나요?
안녕하세요. 이상하 노무사입니다.입사연도인지 회계연도인지 연차 산정 기준을 알 수 없으나, 회계연도(1.1.~12.31.) 기준으로 본다면 2023. 1. 1. 에 약8개, 2024. 1. 1.에 15개, 2025. 1. 1. 에 15개가 발생하며 2022. 7. 1. 입사 이후 1개월 개근 시 발생하는 연차 11개는 별도로 존재합니다.입사연도라면 2023. 7. 1. 15개, 2024. 7. 1. 15개, 2025. 7. 1. 에 16개가 발생하며 역시 11개의 연차는 별도로 발생합니다. 참고 바랍니다.
Q. 부당해고가 노동법으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어떤 조건이 필요한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하 노무사입니다.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계약만료는 근로관계의 자동종료 사유에 해당하며, 무기계약직 근로자에게 근로계약기간 만료를 이유로 계약종료 통보를 하거나 계약기간이 남아있음에도 계약만료를 이유로 일찍 내보내는 등의 사정이 아닌, 계약기간이 지나 자동으로 종료되는 경우라면 해고라고 보긴 어렵습니다. 물론, 계약기간이 지나도 정규직으로 전환되리라는 정당한 기대권이 인정됨에도 내보내는 경우라면 해고 여부를 다퉈볼 수 있으나, 구체적인 상황을 알 수 없어 정확한 답변이 어렵습니다.참고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