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결혼식 비용이 비싸다고 이러한 비용에 대한 손을 보겠다는 뉴스 기사를 본적이 이씁니다.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답변드리겠습니다.보통 전국 평균 약2천만 원 ~ 3천만 원대 서울은 4천만 원대 이상도 많습니다.지방 기준으로도 다음과 같은 항목들이 포함되면 기본 2천만 원 훌쩍 넘습니다. 하객 축하금으로 일부 회수 되긴 하지만 선부담이 큽니다.통계청,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청년정책조사 등에서는 경제적 부담이 결혼 미루거나 하지 않는 주요 이유로 지속적으로 보고됩니다.특히 남녀 모두 결혼식, 혼수, 비용 부담을 가장 현실적인 장애물로 지목합니다.비용이 낮아지면 어느 정도 긍정적인 영향을 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실제로 결혼식 비용을 간소화하거나 작은 결혼식으로 치른 커플들의 만족도가 높은 편입니다.감사합니다.
Q. 월세 계약을 해도 괜찮을까요? 주의할점도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답변드리겠습니다.전반적으로 리스크가 상당히 높다 생각합니다.보증금이 적고 월세도 낮지만 제한 설정이 있고, 경매로 갈 가능성도 크다 생각합니다.제한 설정이 있다는 뜻은 등기부등본 상 근저당권, 압류, 가압류 등이 설정되어 있다는 뜻입니다. 이 경우 집이 경매에 넘어갈 확률이 높고 그 순간 임차인의 거주 안정성은 심각하게 훼손됩니다.특히 보증금이 적더라도 대항력 없이 쫒겨날 수도 있습니다.경매로 넘어가면 6~12개월 거주 가능이란 경매 개시 후 낙찰되기까지 통상 6개월 ~ 1년 정도 걸리며 그 기간 동안은 기존 세입자도 거주 가능하지만 낙찰자가 나타나면 명도 소송을 통해 강제 퇴거 요청 가능합니다.즉 이 집은 단기 거주 목적으로만 고려할 수 있고 장기 거주 불가능합니다.감사합니다.
Q. 어린이 교통카드는, 지자체에서 지원 사업이 따로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지자체 교통비 지원 정책은 지자체 자율 사업입니다. 중앙정부가 전국 단위로 일괄 시행하는 것이 아니라 각 시,도/ 구,군 단위 지자체에서 자율적으로 결정하는 복지 사업입니다.그래서 어떤 지역은 교통비를 전액 지원하고 어떤 지역은 아예 지원하지 않습니다.일부 정책은 예산 상황, 시범 사업, 선거 공약 이행으로 1~2년간 한시 운영됩니다. 사업이 종료되거나 연장 여부가 불확실할 수 있으니 매년 초 또는 하반기에 지자체 공고 확인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