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이치호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치호 전문가입니다.
이치호 전문가
프리랜서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경제
자격증
무역
9일 전 작성 됨
Q.
환율 높으면 해외직구 구매가 손해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환율이 높으면 직구가 확실히 부담스럽게 느껴집니다. 예전에는 같은 물건이 카드 결제 들어가도 별 차이 없었는데 지금은 계산할 때 체감 차이가 확 나죠. 달러가 1300원 넘어가면 단순히 물건값뿐만 아니라 카드 수수료나 해외 배송비까지 다 원화로 환산돼 더 비싸게 느껴질 수밖에 없습니다. 그렇다고 무조건 직구를 포기해야 하는 건 아닙니다. 국내보다 해외가 훨씬 싼 브랜드나 제품은 여전히 직구가 유리할 수 있습니다. 다만 단순 소비재나 이미 국내 정가와 차이가 거의 없는 물건은 환율 높은 시기엔 굳이 무리해서 살 필요가 없다는 생각이 듭니다. 필요한 물건인지 단순히 싸다는 이유로 사려는 건지 그 기준을 스스로 세워야 덜 후회가 남습니다.
무역
9일 전 작성 됨
Q.
해외 직구 배송 원래 이렇게 느린가요?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해외 직구는 생각보다 시간이 훨씬 길어질 때가 많습니다. 국내 배송만 하다 처음 겪으면 진짜 답답하게 느껴질 수밖에 없습니다. 보통은 2주 안팎이면 오는데 세관에서 잡히거나 통관 서류 확인이 길어지면 3주 넘게도 걸립니다. 요즘은 국제 물류 자체가 밀려서 배송 추적에 계속 통관 중이라고만 떠 있는 경우도 많습니다. 물건에 문제가 생긴 건 아닐 확률이 높고 단순히 행정 절차가 지연되는 걸 가능성이 큽니다. 기다리는 입장에선 하루하루 길게 느껴지지만 실제로는 흔한 상황이기도 합니다.
무역
9일 전 작성 됨
Q.
해외직구 관세 기준 150달러? 200달러?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해외직구 할 때 제일 먼저 헷갈리는 게 이 기준 금액입니다. 우리나라 기본 규정은 개인이 해외에서 물건 들여올 때 물품 가격이 미화 150달러 이하면 관세랑 부가세가 면제됩니다. 그런데 미국에서 직구할 경우에는 한미 fta 특례가 있어서 200달러까지 면세가 적용됩니다. 그래서 말씀하신 170달러 전자제품을 미국 사이트에서 직구하면 세금이 안 붙습니다. 다만 같은 금액이라도 다른 나라에서 들여오면 150달러 초과라서 과세 대상이 됩니다. 배송비랑 보험료가 과세가격에 포함되는 경우도 있어서 실제 계산은 조금 달라질 수 있다는 점도 기억해 두셔야 합니다.
무역
10일 전 작성 됨
Q.
미국의 무역적자를 면하기 위해서는 금리를 올려야한다는 이유는 뭘까요?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무역적자랑 금리 얘기가 같이 나오는 건 사실 간단한 구조에서 출발합니다. 금리를 올리면 달러 자산에 투자하려는 해외 자금이 더 몰리게 되고 그 결과 달러 가치가 강해집니다. 달러가 강해지면 수입품은 싸게 들여올 수 있지만 미국 기업이 수출하는 제품은 해외에서 비싸 보이니까 오히려 무역적자가 줄어들기는 어렵다는 모순도 생깁니다. 그래서 금리를 올려야 한다는 말은 무역적자 그 자체보다는 외국 자금 유입을 늘려 경상수지 적자를 방어한다는 맥락으로 쓰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금리와 무역수지가 맞물려서 돌아가는데 단순히 금리 하나로 적자를 해결할 수 있다는 식의 설명은 좀 과장된 해석에 가깝습니다.
무역
10일 전 작성 됨
Q.
중국에서 블루라이트 차단 안경 수입 문의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중국에서 도수가 없는 블루라이트 차단 안경을 들여올 때 가장 많이 헷갈리는 부분이 시험성적서만 있으면 되는지 아니면 kc인증까지 받아야 하는지인데 실제로는 전자파가 발생하는 기기나 안전성이 직접적으로 문제 되는 전기제품과 달리 단순 플라스틱 안경테나 렌즈는 kc 강제 대상은 아닙니다. 대신 제품에 블루라이트 차단 성능을 표시하고 판매하려면 관련 시험성적서가 필요하고 광고 표시 심의 같은 규정에 걸릴 수 있습니다. 다만 세관이나 관계 기관에서 소비자 안전 관련 근거자료를 요구할 수 있어 성적서만으로 충분한지 여부는 수입 목적과 유통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kc인증까지 의무는 아니지만 상황에 따라 요구될 가능성을 염두에 둬야 합니다.
41
42
43
44
4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