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동 밑에 숫자는 무엇을 의미하나요?
예를 들어 101동인데 밑에 숫자 1-2라고 적혀 있던데 요즘
신축아파트들은 그렇게 써져 있더라고요
무엇을 의미하는건가요?? 찾아가기 헷갈리더라고요
안녕하세요. 공인중개사입니다.
아파트 101동 1,2 숫자는 세대 라인 또는 동 내부 구조 구분용입니다. 복도식/계단식 등에 따라 라인마다 구조가 달라 구분 표시하며 부동산 매물을 찾을 때 동라인 정보로 정확한 위치 파악에 도움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아파트 출입구측에 적혀져 있는 숫자라면 1, 2 라인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즉 101동 101호~n01호와 102호~n02호 를 알리는 숫자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구자균 공인중개사입니다.
앞자리는 층수
뒷자리는 라인을 말합니다.
101동 1-2
: 101동 1층에 있는 2번 라인.
추가 궁금하신 사항 있으실가요?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어디에 써 있는 표시를 말하는 것인지 모르겠습니다만, 아마도 공동출입구 앞에 써 있는 것을 보고 말씀하시는 듯 보입니다. 보통 외부벽에 크게 질문처럼 쓰지는 않고 동표시만 해놓지만, 세부적으로 공동출입구마다 1 - 101 - 2 혹은 101동 1-2 이렇게 써있는 것은 호수 라인을 말합니다. 보통 아파트의 경우 복도식이 아닌 계단식이라면 1층당 2세대가 있고 같은 동이라도 호수라인별 출입구가 달라지기 때문에 공동현관문에 1-2는 각층이 101호 ,102호 .... 1201호 1202호처럼 1호라인과 2호라인의 출입구라는 뜻입니다.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신축 아파트 단지에서 동 밑에 '1-2'처럼 적힌 숫자는 지번 주소 또는 블록/로트 번호를 의미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행정적인 구분을 위한 정보로 건물 등기나 공문서상 주소에서 구체적인 땅의 위치를 명확히 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특히 신도시나 대규모 단지에서는 지번이 단순 연속번호가 아니라 블록-로트 형식으로 되어 있습니다
건설사나 관리사무소 기준 배치도에서 이 번호를 많이 쓰기도 합니다
내부 관리, 유지보수, 공사 등에서 위치를 구분하기 쉽게 하기 위함입니다
주소는 도로명 주소를 따르더라도,
지번 기준 표시가 함께 병기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신축아파트 101동이라는 한동짜리 건물안에 만일에 2세대가 층별도 산다고 하면 1층일 경우 101동 101호 102호 이런식으로 구분을 짓게 됩니다. 즉 1-2호 라인이라는 뜻이고 각 층마다 호실 끝자리를 뜻하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영주 공인중개사입니다.
대부분의 경우, '1~2'와 같은 숫자는 해당 동 내의 여러 개의 출입구(코어)나 구역을 구분하기 위한 것입니다. 특히 건물 길이가 매우 길거나, 여러 라인(호수)이 한 동에 모여 있는 대형 아파트나 주상 복합 건물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101동'이라고 표기되어 있지만, 그 아래에 '1-1', '1-2', '1-3' 등으로 숫자가 나뉘어 있다면 :
101동 1-1 : 101동의 첫 번째 출입구 (라인)
101동 1-2 : 101동의 두 번째 출입구 (라인)
101동 1-3 : 101동의 세 번째 출입구 (라인)
이런 식으로 각 출입구가 관리하는 세대 라인(호수)이 정해져 있어서, 방문객들이 목적지를 더 쉽게 찾을 수 잇도록 돕는 역할을 합니다. 같은 동이라도 어떤 출입구를 이용 하느 냐에 따라 특정 호수로의 접근이 더 편리해지기 때문입니다.
간혼 이 숫자들이 단지 내의 '블록'을 의미할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1단지에 101동이 있고, 2단지에 101동이 있는 경우, 헷갈리지 않도록 1단지 101동은 '101동(1블록), 2단지 101동은' 101동 (2블록)'과 같이 추가적인 숫자를 표기하기도 합니다.
안녕하세요. 채정식 공인중개사입니다.
신축아파트 동 밑에 1-2 숫자 표시는 해당 입구가 1라인 2라인의 집이 있는 곳이라는 의미입니다. 라인이라는 것은 복도와 계단 기준의 출입구 구분과 호수 구간의 의미로 사용이 되며 자세한 위치 안내를 위해 표시하는 실용적인 표기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101동 밑에 1-2라고 써져 있는 경우는 내부 라인을 구분하기 위해서 입니다.
단순한 동호수 표기가 아니라 단재 내 위치를 체계적으로 나누기 위한 코드 체계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