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휴일·휴가 이미지
휴일·휴가고용·노동
휴일·휴가 이미지
휴일·휴가고용·노동
예리한고라니130
예리한고라니13021.10.07

주5일 사업장 회사 귀책 4일 우천 인한 휴업 1일 일때 휴업수당과 주휴수당 계산은 어떻게 될까요?

안녕하세요

제목과 같이 주5일인 사업장에 회사 귀책사유로 일주일 중 4일을 휴업하고, 나머지 1일은 우천으로 인하여 휴업을 하였습니다. 아래 중 어떤 사항이 맞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1. 4일에 대한 휴업수당(70%)이 발생되고 주휴수당이 발생되지 않음

2. 4일에 대한 휴업수당(70%)이 발생되고 주휴수당 (70% x 4일/5일) 발생

3. 4일에 대한 휴업수당(70%)이 발생되고 주휴수당(70%)발생

4. 4일에 대한 휴업수당(70%)이 발생되고 주휴수당(100%)발생

5. 5일에 대한 휴업수당(70%)이 발생되고 주휴수당 (100%) 발생

6. 5일에 대한 휴업수당(70%)이 발생되고 주휴수당(70%) 발생

더불어 월급직 근로자는 통상 별도 명시가 없는한 주휴수당이 포함된 금액으로 간주하여 휴업수당만 지급하면 된다고 하는데 이럴경우 4일(70%)지급일까요 아니면 5일(70%) 일까요

추가 필요조건이 있으시면 답변때 적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김호병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회사 귀책사유로 휴업한 4일에 대해서는 평균임금 70% 이상의 휴업수당이 발생합니다. 우천으로 인해 휴업한 경우에 대해서는 사업주에게 불가항력적이라면 휴업수당이 발생하지 않고 예방 가능하다면 휴업수당이 발생합니다.

    주휴수당 대신 평균임금의 70%가 발생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전재필 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제46조(휴업수당)

    ① 사용자의 귀책사유로 휴업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휴업기간 동안 그 근로자에게 평균임금의 100분의 70 이상의 수당을 지급하여야 한다. 다만, 평균임금의 100분의 70에 해당하는 금액이 통상임금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통상임금을 휴업수당으로 지급할 수 있다.

    ② 제1항에도 불구하고 부득이한 사유로 사업을 계속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노동위원회의 승인을 받은 경우에는 제1항의 기준에 못 미치는 휴업수당을 지급할 수 있다

    4. 4일에 대한 휴업수당(70%)이 발생되고 주휴수당(100%)발생

    으로 휴업수당과 주휴수당이 발생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권병훈 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5일 70%로 보아야 할 것입니다.

    다만 우천으로 인한 휴업이 사업주가 지배 예견 회피 가능한 상황이 아닌 것으로

    노동위원회 사전 사후승인 받은 경우 미지급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예외적으로 4일 70%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이종영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1.우천 중 영업이 가능함에도 휴업하였다면 해당일에 대하여는 휴업수당이 지급하여야 합니다.

    2.일주일 중 전부를 휴업한 경우 주휴수당은 발생하지 않습니다. 다만 휴업수당은 산정을 위한 기간에는 주휴일이 포함되어야 하므로, 총 6일의 휴업수당이 발생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