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언제나주목받는기술자
언제나주목받는기술자

공항 이용객이 없는 경우, 폐쇄조치도 가능한건가요?

공항이 생기기만 하고 이용객이 없는 경우도 허다한데, 이런 경우에는 공항 폐쇄도 가능한건지요? 이용객 기준으로, 수익성 기준으로 결정하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네 맞습니다. 공항이 이용객이 없고 운영을 해도 적자가 발생을 하게 될 경우 공항 폐쇄를 결정을 하기도 합니다.

    국내에서도 예천공항이 예전에 민간운항기를 유치하고 운영을 하였으나 적자가 발생이 되자 1997년 외환위기를 맞게 되자 결국 1998년 공항을 폐쇄를 하게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제동 공인중개사입니다.

    공항의 건설은 막대한 자본과 기술이 필요합니다

    공항 건설은 일반적으호 안보상 전략상 팔요성과 경제적 도움을 주기 위한 목적인데 때로는 정치적 목적으로 건설하기도 합니다

    우리나라는 좁은 국토에 불필요한 공항건설로 국가 예산을 소모하는 경우도 간혹있어 국가예산을 낭비하는 요인으로 애물단지로 방치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러나 경제적 측면에서 효율가치가 없으면 공황도 페쇄할 수도 있는데 아직까지는 공황 폐쇄 소식은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하상원 공인중개사입니다.

    공항은 이용객이 없고 수익성이 매우 낮은 경우 폐쇄될 수 있지만, 단순히 이용객이 적다는 이유와 수익성이 적다는 이유만으로 바로 폐쇄되지는 않습니다. 공항은 국가나 지자체가 막대한 예산을 들여 조성한 공공 인프라이기 때문에, 단기간의 저이용이나 적자만으로는 쉽게 문을 닫지 않으며, 폐쇄 여부는 매우 신중하게 결정됩니다.

    공항 폐쇄나 운영 중단 여부는 여러 기준을 종합해 판단되는데, 대표적으로 이용객 수, 재정 수지(적자 규모), 지역 경제에 미치는 영향, 군사적·안보적 가치, 고속도로나 KTX 등 다른 교통수단으로의 대체 가능성 등이 포함됩니다.

    실제로 경북 울진공항은 개항 후 이용률 저조로 민간 운항이 중단되었고, 현재는 소방헬기와 훈련용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무안공항이나 양양공항처럼 한때 이용객 저조로 운영 위기에 놓였지만, 저비용항공 유치나 관광 활성화 정책을 통해 다시 회복된 사례도 있습니다.

    질문에 대한 답이 되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공항을 폐쇄하는 것은 법적, 행정적 절차가 필요한 중요한 결정입니다.

    국내는 항공법과 국토교통부 지침에 따라 공항 운영 여부를 조정합니다.

    승객 수가 극도로 적거나 항공사 운항 취소가 지속될 경우 운영 효율성 문제로 폐쇄 검토될 수 있으나 공공적 가치도 고려되기 때문에 쉽게 폐쇄되지 않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채정식 공인중개사입니다.

    말씀처럼 공항은 자연재해 등으로 임시 폐쇄나 다음과 같은 경우 행정 절차를 거쳐 운영 중단이 될 수 있습니다.
    첫 번째로 지속적인 이용객 미달과 실적 미달이거나 국가나 지역의 항공 교통 정책 변화나 안전 및 시설 기준 미달로 인한 유지 불가 시 폐쇄가 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공항 폐쇄는 이용객 수와 수익성에 따라 가능은 하지만,정치적·지역균형·군사적 요소가 더 강하게 작용합니다

    실질적으로는 폐쇄보단 운영 중단 혹은 기능 전환 형태로 진행됩니다

    따라서, 이용객이 없다면 곧바로 폐쇄는 단순한 구조는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