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세 -> 월세 이사 보통 절차가 어떻게 되나요?
1.이전 계약된 월세방이 10월 1일까지가 계약일일경우 10월 1일 까지는 월세를 내고 한달 안에 방을 빼는게 맞나요?
2.이사갈 동내를 정하고 나서 이전 집주인 에게 몇개월 전까지 통보를 해야 하나요?
3.보통 이사갈 집에 계약을 할때 입주희망일 얼마 전에 계약을 하나요?
4.이전 집주인한테 4개월 전에 나간다고 말해뒀다면 이사 가고싶은 집 집주인한테 4개월 뒤에 여기 살고 싶어요 라고 말하면 안 받아주지 않나요??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통상적으로 집주인에게는 계약 만기 6~2개월전에 얘기를 해야 하고, 또한 2~3개전부터 이사갈 집 알아보시면 됩니다.
그리고 나갈 집과 들어갈 집 이사 날짜를 잘 맞추어서 이사하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임형순 공인중개사입니다.
계약종료 2개월이 되기전까지 임대인에게 계약종료일에 맞취 이사하겠다고 통지한 후
이사할 집을 찾으면 됩니다. 만기일까지 월세를 내야하고 임대인이나 새 입주자의 사정으로 약간의 날자 조정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이사할집도 1-2개월사이에 계약합니다
이사를 통지한후 번복시 임대인이 연장을 거부할 상황에 처해질 수도 있으나 새임차인이 구해지지 못했다면 승락도 가능할 것입니다안녕하세요. 고경훈 공인중개사입니다.
1.이전 계약된 월세방이 10월 1일까지가 계약일일경우 10월 1일 까지는 월세를 내고 한달 안에 방을 빼는게 맞나요?
==> 통상 이사시기는 계약종료일자를 기준으로 이사일정을 수립해야 합니다.
2.이사갈 동내를 정하고 나서 이전 집주인 에게 몇개월 전까지 통보를 해야 하나요?
==> 최소한 계약종료일자를 기준으로 2개월 전까지 통보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자동갱신이 됩니다.
3.보통 이사갈 집에 계약을 할때 입주희망일 얼마 전에 계약을 하나요?
==> 월세인 경우 1~2개월 전에 진행됩니다.
4.이전 집주인한테 4개월 전에 나간다고 말해뒀다면 이사 가고싶은 집 집주인한테 4개월 뒤에 여기 살고 싶어요 라고 말하면 안 받아주지 않나요??
==> 네 기간이 너무 많이 남아 있는 만큼 2개월 전에 계약을 체결하여도 문제가 없어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만기전 2개월에서 6개월사이에 임대인께 이사하겠다고 통보하시면 됩니다
방이 빠지면 그날자에 맞춰 다음집을 얻으시면 됩니다
1개월에서 3개월사이에 합니다
이사는 서로 날자가 맞아야 합니다
지금 살고 있는집에 만기에 보증금을 준다고 하면 만기날자에 맞춰서 계약을 하시면 되는데 꼭 임대인께 보증금을 줄수 있는지 확인하고 하셔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10월1일까지의 월세를 부담하고 퇴거하셔야 합니다. 즉 10월1일 만기일이 퇴거일입니다.
계약만기 해지를 원하실 경우 만기 6~2개월전 임대인에게 재계약거부 및 만기해지 의사통보를 하셔야 합니다. 다음 이사갈 집 구하는 것은 위와 같은 통보를 먼저하고 난 뒤 찾아보셔야 합니다.
차이는 있겠지만 보증금에 대한 대출등이 있을 경우 계약일과 잔금일 간격은 한달정도가 일반적입니다. 대출이 없다면 현 주택 퇴거일자에 맞추어 잔금일을 정하시면 되고 별도 기간차이는 조정하실수 있는 부분입니다.
그건 임대인에 따라 다른 부분이고, 4개월전에 만기퇴거라면 그에 맞는 주택을 구하시셔야 합니다. 해당 이사갈 주택에 대해서도 현 임차인이 있을수 있기에 서로 조정하여 정하시는 부분이지, 무조건 된다 안된다를 확정하기는 어렵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