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고용·노동

휴일·휴가

어린베짱이138
어린베짱이138

노무사분들께 연차수당관련하여 문의드립니다.

제9조 (휴일)

① 법정휴일 : 주휴일 2일 (단, 주 소정근로일수를 만근한 경우)

② 약정휴일 : 법정공휴일

③ 기타 회사가 임의로 정하여 부여하는 날

제10조 (유급휴일 및 연차휴가)

① 근로자는 계속해서 근로한 기간이 1년 미만인 경우에는 1개월 만근 시 1일의 유급휴가를 부여한다.

② 1년 이상 근무경우 회사는 다음 1년간 15일의 유급휴가를 부여한다.

③ 2년 이상 계속하여 근로할 경우에는 최초 1년을 초과하는 계속근로연수 매 2년에 대하여

1일을 가산한 유급휴가를 부여하며, 최대 25일을 한도로 한다.

④ 기타 휴가는 회사의 취업규칙 등 제규정(이하 취업규칙 이라 한다)에 정한 바에 따른다.

⑤ 매월 공휴일 및 대체 공휴일은 근로자의 연차 일수에서 제외하고 연차를 부여한다.

단 명절 추석, 설 당일은 연차 일수에서 제외하지 않는다.

⑥ 매주 [토,일] 요일을 유급휴일로 한다, 단 사용자는 특별한 사유가 생길 경우 유급휴일 중 1일을 1주일 전에 관리자와 협의하에 다른 요일로 대체할 수 있다.

⑦ 근로기준법 및 취업규칙에 따라 연차휴가를 부여한다.

위에는 저희 회사 근로계약서 내용 중 휴가 연차 관한 내용 그대로 적었습니다.

입사일: 2020년 12월 1일

퇴사일:2022년 5월 1일

이라고 한다면 연차는 26개고 수당 청구 가능한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근데 현재 회사에서 2022년 이전 연차는 공휴일로 다 차감되었다고 하고 기존 a회사에서 새로운 법인사업자를 하나 더 만들었고 (b사업자로 칭하겠습니다)저 포함 직원 3명이 b법인사업자로 소속 되어있어서 1년차때 나오는 연차15일도 지급 기준이 안된다고 노무사에서 말씀하셨다고합니다. 결론은 사용해본 적 없는 연차가 없으니 수당을 못 준다.

-질문1. b법인사업자로 근로계약서를 작성한 적도 없고 급여 및 연말정산(작년, 재작년 모두) a사업자로 받았습니다. 그래도 제가 b법인사업자 소속된게 맞는지 직원이 3명이라 연차 지급조건이 안된다는게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질문2. 제 10조 5항에 '매월 공휴일 및 대체 공휴일은 근로자의 연차 일수에서 제외하고 연차를 부여한다.

단 명절 추석, 설 당일은 연차 일수에서 제외하지 않는다.'

공휴일 및 대체공휴일로 연차를 차감한다고 되어있는데 효력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질문3. 공휴일로 차감이 가능하다면 연차 사용할 당시에 차감하겠다고 저에게 설명이나 동의를 얻어야 하는거 아닌가요?

전혀 그런 얘기가 없으셨고(동의서 쓴 적도 없음) 이제와서 수당을 요청하니 차감되어서 연차 별로 안남았다라고 말씀하시거든요.

-질문4. 연차수당을 회사에서 지급 안하려는것 같아 노동청 진정서 제출하려고합니다. 제출하면 어떤식으로 진행이 되나요?? 회사에 연차수당 관련으로 조사 나갈거라고 연락이 가나요?

-질문5. 어떤분이 조사나오기 전에 회사에서 자기들 좋은쪽으로 조취를 취할 수도 있으니 노동청에 진정넣지 말고 고소를 해야된다는데 이게 맞는건가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하기 이미지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