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육아

양육·훈육

MinJun Kim
MinJun Kim

6세 남아의 자존감을 높이는 칭찬과 격려 방법

6세 남자아이의 자존감을 높이고 자신감을 키울 수 있는 칭찬, 격려의 구체적인 표현법과 일상에서 실천할 수 있는 긍정적 피드백 방법을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6세 남자 아이의 자존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은 칭찬과 격려가 필요합니다.

    1. 결과보다는 과정을 칭찬하기 - 끝까지 해보려고 한 부분이 멋있다고 노력한 부분을 구체적으로 칭찬해 주시기 바랍니다.

    2. 비교하지 않기 - 다른 아이와 비교하지 않고, 아이 자체가 가지고 있는 강점과 장점을 찾아서 인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3. 작은 일도 크게 격려하기 - 감정을 담아서 표현하고 격려하면, 아이도 기뻐하고 자존감이 쌓이게 됩니다.

    4. 아이의 말 경청하기 - 아이가 말할 때 건성으로 듣지 않고, 눈을 맞추고 진심으로 들어주면 아이도 자신이 소중한 사람이라는 것을 느끼게 됩니다.

    5. 스스로 선택하도록 하기 - 자기 결정권을 주면, 자존감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의 자존감과 자존심은

    부모님의 안정된 애착으로 부터 시작이 되어집니다.

    부모님은 아이에게 꾸준한 사랑, 관심, 애정을 보여주면서 아이에게 안정감을 심어주도록 하세요.

    그리고 무엇보다 아이에게 긍정의 메세지를 전달해 주면서 용기와 힘을 복돋아 주는 것이 필요로 합니다.

    "넌 할 수 있어", '지금의 너도 충분히 매력이 있어" 라는 긍정의 메세지를 전달을 해주며 아이에게 용기와 힘을 복돋아

    준다면 아이의 자신감과 자존감은 조금씩 상승되어 질 수 있겠습니다.

  • 아이의 자존감을 높이기 위한 방법이 무엇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결과보다 과정을 칭찬히가, 구체적으로 칭찬하기, 내면의 특성 칭찬하기, 실패 속에도 칭찬 포인트 찾기, 칭찬은 즉시 진심으로 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의 자존감을 높여주기 위한 부모의 역할이 무엇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일상생활에서 따듯한 스킨십을 해줍니다.

    부모가 먼저 모범이 되어주어야 하며, 아이에게 자율성을 주는 것이 좋습니다.

    좋은 모습을 보일 때는 아낌없이 칭찬해주고 가능하면 '안돼'라는 말은 자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부모가 아이에 대한 기대수준이 높고 잘못된 행동을 야단치게 되면 아이의 자존감은 낮아지게 됩니다. 또한 부모의 잦은 화내는 모습을 보고 자란 아이는 부모에게 사랑받지 않는다고 생각하여 자존감이 낮은 아이로 자랄 확률이 높습니다.

  • 안녕하세요. 고민지 보육교사입니다.

    6세 남자아이는 점점 자아인식이 또렷해지고 타인의 평가에 민감해지기 시작하는시기로 자존감의 기초가 형성되는 중요한 시기입니다

    자존감을 높이는 칭찬은 단순히 결과에 초점을 두기보다는 아이의노력, 과정,태도에 주목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예를 들어서 무언가를 완성했을 때 잘했다고 말하기보다 끝까지 해낸 점이나 스스로 방법을 찾으려 한 과정을 인정해주는 방식이 효과적입니다

    이런 칭찬은 아이가 외부의 평가보다 자신의 내면 기준으로 성취를 판단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 안녕하세요. 신수교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의 자존감을 높여주기 위해서는 칭찬을 많이 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사소한 것부터 큰 것 까지 많은 칭찬을 해주세요

  •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6세 남아의 자존감을 높이려면 결과보다 노력과 과정중심 칭찬이 중요합니다. '끝까지 해냈구나, 정말 끈기있네!;처럼 구체적으로 표현하고 작은 시도에도 '네가 해보려고 한게 멋져!라며 인정을 해주세요. 아이가 실수했을 땐 '괜찮아, 다음에 더 잘할 수 있어'라고 긍정적 피드백을 주며 회복 탄력성을 키워주세요

  •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친구들이나 형제자매와 비교하는 말은 하지 않습니다.

    결과 보다는 시도나 노력에 칭찬을 많이 해주세요

    그리고 칭찬은 구체적으로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차례를 지켜는 모습이 정말 멋지구나, 친구를 기다려 줘서 정말 고마워, 잘했어~ 이런 칭찬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