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대사량 기준이 있는 건지 알고 싶습니다.
인바디 체크하면 기초대사량이 나오는데, 어떤 기준으로 나오는 건지 궁금합니다.
혹시 키에 따른 기초대사량 기준이 있는 건지?
아니면 몸무게에 따라 기준이 되는 기초대사량이 있는 건지 궁금합니다.
기초대사량은 근육이 많을 수록 높은 걸로 알고 있는데, 제가 평균이상 인지 이하인지 궁금해서요.
안녕하세요. 김예은 영양전문가입니다.
기초대사량은 주로 키, 몸무게, 나이, 성별을 바탕으로 계산됩니다. 근육량이 많을수록 기초대사량이 높아지며, 인바디는 이 근육량 데이터를 반영해 측정합니다. 따라서 기초대사량 기준은 개인 신체조건과 근육량에 따라 다르니, 인바디 결과를 근육량과 함께 비교하는 게 정확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정준민 영양전문가입니다.
기초대사량은 연령이나 사람에 따라 차이가 있는데요
일반적으로는 하루 권장 영양성분 기준이 2000kcal 부터 시작을 한답니다.
남자의 경우 2500 ~ 3000천까지고 가고
여성은 1800 ~ 2500 까지도 가지만 이는 일반적인거랍니다.안녕하세요. 김혜수 영양사입니다.
기초대사량(BMR)은 몸이 생명을 유지하는 데 쓰는 최소한의 에너지량을 의미해요.
즉, 아무것도 하지 않고 가만히 있어도 소비되는 칼로리라고 보면 됩니다.
인바디나 다른 체성분 분석기는 키, 체중, 나이, 성별, 체지방률, 근육량 등을 기반으로 표준 공식을 적용해 BMR을 계산해요.
흔히 사용하는 해리스-베네딕트나 미프린 세인트 공식처럼 몸무게와 키, 나이, 성별이 중심이 되는 공식이 많습니다.
근육량이 많으면 기초대사량이 높아지고 체지방이 많으면 상대적으로 낮아지는 경향이 있어요.
즉, 키와 체중은 기준을 잡는 중요한 요소이고, 근육량은 BMR을 올리는 역할을 해요.
평균 이상인지 이하인지는 나이와 성별 기준으로 비교해야 하며, 인바디에서 나온 수치를 같은 성별, 나이대의 표준 범위와 비교하면 어느 정도 위치인지 판단할 수 있어요.
안녕하세요. 임원종 영양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기초대사량은 인체가 아무 활동을 하지않고 가만히 있어도 소비하게되는 최소한의 에너지량을 뜻합니다. 인바디에서 제공하는 기초대사량 수치는 개인의 체성분인 제지방량 나머지 근육량을 토대로 계산된 추정치라고 이해하시면 편합니다.
기초대사량은 보통 나이, 키, 체중, 근육량의 영향을 받습니다.
키가 클수록 체표면적이 넓어서 대사량이 높아집니다. 몸무게는 단순히 많이 나간다고 높아지는 것 보다는 체중 증 근육 비중이 높아야만 기초대사량도 올라가게 됩니다. 근육량은 지방은 대사에 거의 기여하지 않지만, 근육이 대사활동이 활발하기 때문에 같은 체중이라도 근육이 많은 여성이 기초대사량이 더 높습니다.
일반적으로 여성은 제지방량 1kg당 18~20kcal정도이며 남성은 20~22kcal정도가 기초대사량으로 추청됩니다. 예를 들어 제지방량이 40kg라면 BMR은 약 720~800kcal로 계산해볼 수 있겠습니다. 인바디에서 나오는 수치가 이와 유사하다면 평균 범위라고 보실 수 있으며 같은 연령, 체형 대비 더 높다면 근육량이 평균 이상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여성 평균 기초대사량 범위는
20대 여성경우 1,300~1450kcal
30대 여성경우 1,250~1,400kcal
40대 여성경우 1,200~1,350kcal
50대 여성경우 1,100~1,300kcal
정도로 추산이 됩니다. 이는 체중 50~70kg에서 평균적인 근육량을 가진 경우 기준입니다
기초대사량 공식은 몇가지가 있는데 그중 Mifflin-St Jeor공식으로 말씀드리자면
BMR = {10 x 체중(kg)} + {6.25 x 키(cm)} - {5 x 나이(만)} - 161
입니다.
아니면 제지방량을 모르시면 단식으로 체중 x 22kcal도 있습니다. 근육 많은 여성은 이보다 좀 더 높게 나옵니다.
같은 나이라도 근육량이 많으면 평균보다 100~200kcal 이상 높에 나옵니다. 반대로 근육량이 적거나 체중이 가벼우면 평균보다 낮습니다.
기초대사량은 키나 몸무게 단독 기준보다는 근육량을 중심으로 한 제지방량을 기준으로 산출되는 값입니다.
따라서 보건소 인바디를 공복에재보셔서 제지방량과 기초대사량을 함께 확인하시면 평균 이상과 이하를 가늠해볼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방법이 되겠습니다.
답변에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