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용어중 오비엘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제가 무역에 관심이 많아서 무역용어를 찾아보는데 무역용어중에 오비엘은 무슨뜻이며 어디에 사용하는지 잘모르겠어서요 비슷한용어도 있다면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남형우 관세사입니다.
말씀주신 오비엘은 Original B/L로 선하증권(Bill of Lading)을 의미합니다. 선하증권이란, "해상운송계약 및 운송인에 의해 물품의 수령 또는 선적을 증명하는 증권으로서 운송인이 동 증권과 상환으로 물품을 인도할 것을 약정하는 증권"으로 화물에 대한 권리를 나타내는 권리증권의 기능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운송인이 선하증권을 발행하면 선하증권의 소유자는 증권에 기재된 화물(물품)의 소유자로 인정되며, 운송이 마친 후 도착지에서 선하증권을 제시함으로써 화물을 인도 받을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합니다.
선하증권과 유사한 용어로는 선하증권의 종류로 볼 수 있으며 권리포기선하증권 (Surrendered B/L), 제시기일 경과선하증권, 지체선하증권 (Stale B/L), Switch B/L, 제3자선하증권 (Third Party B/L), 발행일자소급선하증권 (Back Dated B/L), 적색 선하증권 (Red B/L) 등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와 추천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주봉 관세사입니다.
선하증권(B/L; Bill of Lading)은 해상 운송 계약에 따른 운송 화물의 수령 또는 화물의 선적을 인증하고 그 물품의 인도 청구권을 문서화한 증권을 말합니다. 쉽게 말하자면 해당 서류가 돈으로서의 가치가 있는 유가 증권으로 생각하면 되며 다음의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1. 물건을 찾을 수 있는 유가 증권
2. 운송 계약의 증거
3. 화물 수취증
OBL은 Original B/L의 약자로서 B/L 원본을 말하며, B/L의 종류는 Surrendered B/L, House B/L 등 여러가지가 있으므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왕희성 관세사입니다.
OBL은 Original Bill of Lading의 약어로, 원본 선하증권을 의미합니다.
B/L(Bill of Lading, 선하증권)은 해상 운송에서 화물의 인도 청구권을 표시한 유가증권이며, 해상 운송인이 운송물을 수령 또는 선적하였음을 인증하고, 이를 운송하여 양륙항에서 증권의 소지자에게 그 운송물을 인도할 것을 약속하는 증표입니다.
B/L은 통상 3통을 한세트(full set)로 발행되며, 각 통은 내용이 동일하고, 동등한 효력을 가지기 때문에 화물인도에는 한 통의 제시로 타 B/L은 무효가 됩니다. 또한, B/L은 유통이 가능하다는 특징을 지니고 있습니다.
수출자는 선적절차가 완료되면 해상 운송인에게 B/L을 발급받고, 동 B/L을 계약에 따라 수입자에게 송부하여야 수입자는 동 B/L로 화물인도가 가능합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현 관세사입니다.
OBL은 Origial B/L입니다. B/L원본으로 물건 수령시 반드시 필요한 서류입니다.
Surrendered b/l : original b/l을 발급하지 않고 수출자가 b/l의 권리를 포기하여 수입자가 Original b/l 없이 물품을 수령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말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무역 상담 지식답변자 전경훈 관세사 입니다. 문의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리겠습니다.
선하증권(Bill of Lading)이란 송하인 또는 용선자(배를 빌려 운송을 하는 사람)가 운송물을 해상운송인에게 인도한 경우 운송인 또는 선박소유자가 발행하는 증권을 말합니다.
선하증권은 운송물을 인도했다는 증거가 되고, 목적지에서 이것과 상환해 운송물의 인도를 받을 권리를 표시하는 유가증권입니다.
이러한 선하증권은 권리증권성이 있으므로 해당 선하증권을 통해 수하인이 물품의 수취가 가능하며, 이에따라 발행된 선하증권을 원본 선하증권이 됩니다.
선하증권의 원본은 1통으로도 가능하나 일반적으로 3통을 한 세트(One Full Set)로 발행합니다.
이 3부 중 하나가 사용되면(화물인도에) 나머지 2부는 유가증권으로서 효력을 잃게됩니다.
Original B/L이 , 물품이 목적항에 도착한 이후에도, 수출자 손에 있거나 아직 수입자에게 도착하지 않았다면 수입자는 물품을 인수받을 수 없습니다.
답변이 도움 되셨길 바라며, 추가 문의사항은 댓글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제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클릭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무역에서 사용 하는 비엘이라는 용어는 bill of lading 이라고 하여 해상 운송에사 사용하는운송 게약서 의 역할을 하는 유가 증권 입니다. B/L 이라고도 쓰며 배서나 인도하는 방법을 통하여 물품의 인도를 받는 권리를 나타내는 권리 증권입니다.
문의 하신 오비엘은 비엘중에서 오리지널 비엘을 줄려서 말하는 용어로 대비되는 개면으로 서렌버 비엘이 있습니다.
surrender B/L 은 거래물품에 대한 권리를 포기하였다는것을 표시한 비엘로 물품이 목적항에 도착하면 오비엘을 건내주고 물품을 인도받지만 서렌더 처리를 하면 오비엘을 기다리지 않고도 사본으로물품을 건내 받을 수 있어서 물류비에 대한 부담을 줄이는데 사용 합니다.
안녕하세요. 오기석 관세사입니다.
오비엘이란 Original Bill of Lading의 줄임말로써 BL원본을 의미합니다.
무역운송에 있어 도착지의 화물을 찾아가기 위해서는 반드시 오비엘을 선사(운송사)에 제출하여야만 화물을 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오비엘은 화물수령의 권리증서 기능이 가장 크며 신용장거래시 네고를 위한 제출서류로 사용되는 등의 부가적인 기능도 있습니다.
아울러 오비엘과 함께 쓰이는 상대적 개념으로는 써렌더BL(Surrendered Bill of Lading)이 있습니다
써렌더BL은 오비엘 없이도 도착한 화물을 수령할 수 있도록 오비엘의 기능을 상실시키는 것이며 근거리 운송의 화물에서 주로 사용됩니다.
근거리 화물의 경우 화물이 운송서류보다 먼저 도착하는 경우가 많으며 오비엘 미수취로 인해 불필요한 창고비용 발생과 같은 경제적,시간적 낭비를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통상 써렌더 BL은 오비엘 발행 전에 수출자 요구에 따라 발행되며 이 경우 오비엘이 애초에 발행되지 않습니다.
만약 오비엘 발행 후 써렌더 하고자 하는 경우 오비엘을 회수하여 운송사에 제출해야만 써렌더가 가능하다는 유의점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오비엘은 가장 기본적인 B/L의 형태라고 보여지며 Original Bill of Lading을 말합니다.
B/L이라는 것은 그 서류 자체로 물품에 대한 권리를 나타내기 때문에 이는 Original 즉, 원본성이 가지는 힘입니다. 실무적으로 이는 B/L로서 무역행위를 하는 근간이 되지만, 어느 상황에서는 이 O B/L이 가진 권리/유통증권성으로 인해 업무가 복작해지게 만들어지기도 합니다. O B/L을 반납하여야만 수입자가 물품을 찾아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많은 무역헙체들이 이런 B/L의 권리를 포기하고 Surrender B/L화 하여 무역거래를 하는데, 이는 말하자면 B/L을 반납하지 않아도 물품을 찾아갈 수 있게 만들어주기도 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오비엘이란 오리지널 B/L의 줄임말로 즉 선하증권의 원본을 뜻합니다.
B/L은 선사가 화주에게 발행하는 운송계약서이자 권리증권의 성격을 지닌 서류로 유가증권 즉 금전적 가치를 지니기에 무작정 사본이나 원본을 발급하게 둘 수 없습니다. 이에 따라서, 원본은 총 3장으로 발급이 제한되어있으며, 이러한 원본 B/L을 Original B/L 즉 오비엘이라고 규정하고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하며, 도움이 되신 경우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무역분야 전문가입니다.
화물 운송에는 여러 종류의 B/L(선하증권)이 존재하지만,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B/L에는 크게 두 가지 유형이 있습니다.
1. Original B/L
Original B/L은 말 그대로 선하증권의 '원본'을 의미합니다. 이는 운송 업체(포워더나 선사)에서 일반적으로 세트로 3부를 발행합니다. 이 3부는 내용과 효력이 모두 동일하며, 선사마다 다를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o b/l 세트를 선사에 접수하여야 수입자가 수입신고 수리후 물품을 인수할 수 있습니다.
2. Surrender B/L
Surrender B/L은 B/L에 "Surrendered"라는 문구가 찍힌 선하증권입니다. 이는 Original B/L 없이도 수입물품을 인수할 수 있는 것으로, Original B/L의 유가증권적 성격을 포기하는 권리 포기 선하증권입니다. 즉, 수출자가 B/L을 Surrender 처리하면 거래물품에 대한 소유권을 포기하는 것입니다. 소유권을 포기함으로써 물품이 목적지에 도착하면 Original B/L을 제시하지 않고도 팩스나 이메일 등으로 전송받은 '사본 b/l'으로도 물품을 인수할 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좋겠습니다.
1. 선하증권은 화주와 선박회사간의 해상운송계약에 의하여 선박회사가 발행하는 유가증권이며, 선주가 자기 선박에 화주로부터 의뢰받은 운송화물을 적재 또는 적재를 위해 그 화물을 영수하였음을 증명하고, 동 화물을 도착항에서 일정한 조건하에 수하인 또는 그 지시인에게 인도할 것을 약정한 유가증권이며, B/L상에 기재된 화물의 권리를 구체화하는 B/L의 양도는 바로 화물에 대한 권리의 이전을 의미하며, 화물을 처분코자 할 때에는 반드시 관련 B/L을 가지고 있어야만 하며, 국제무역 대차결제 수단인 화환어음 (documentary bill)의 취결에 필요한 상업송장, 해상보험증권과 함께 기본이 되는 서류로서 선하증권은 ① 권리증권(entitled document) : 선하증권의 소유자나 피배서인은 해당 상품의 인도를 주장할 수 있음, ② 계약의 증빙(evidence of contract) : 선주와 화주 간 운송계약이 체결된 것을 증명하는 역할을 함, ③ 물품 수령증(receipt of goods) : 선사의 물품 수령증의 기능을 갖고 있습니다.
2. 선하증권 발행절차 및 양식은 선하증권 원본의 발행은 1통으로도 가능하나 분실 등에 대비하여 그 이상을 한 세트로 하여 발행할 수도 있으며, 일반적으로 3통을 한 세트(One Full Set)로 발행하는데 각 통은 내용이 동일하고, 동등한 효력을 가지기 때문에 화물인도에는 한 통의 제시로 타 B/L은 무효가 됩니다. B/L발행 절차는 ① 송하인은 운송인에게 Invoice, Packing List, Shipping Request 등을 각각 1부씩 작성하여 제출하고 각 사본을 소지하고 있다가 선하증권 발행 시 대조함, ② 운송인은 등록 검량회사에 검량한 후 검량회사 측의 증명서를 받음. ③ 운송인은 적하 예약목록을 작성하여 본선과 선적업자에게 통지함. ④ 운송인은 선적업자 또는 송하인에게 선적지시서(Shipping Order)를 교부함. ⑤ 송하인은 선적이 완료되면 본선수취증(M/R:Mate’s Receipt)을 본선에서 수취하 여 운송인에게 제출함. ⑥ 운송인은 M/R에 의하여 선하증권을 송하인에게 교부함. ⑦ 송하인은 선하증권등 제반서류를 갖추어 거래은행에 제출하고 대금을 회수함. ⑧ 송하인은 거래은행을 통해 L/C 개설은행에 선하증권 및 선적서류를 송부하고 상품 대금을 회수함. ⑨ L/C 개설은행은 수하인에게 선하증권을 교부하고 대금을 회수함. ⑩ 수하인은 교부받은 선하증권을 운송인에게 제출하고 화물인도 지시서를 교부받아 화물을 인도받고 있습니다.
3. B/L의 종류로는 크게, 오리지널 B/L(OBL), SURENDERED B/L이 있고, B/L의 발행 대상에 따라 House B/L은 Master B/L을 근거로 운송인이 화물주에게 발행하는 B/L이며, Master B/L은 선사가 운송인에게 발행하는 B/L이며, 1) Original B/L은 말그대로 원본인 B/L로 원본인 B/L은 오리지널 3장과 COPY 4장, 은행 보관용 1부를 총 합쳐 1SET로 발행되고, OBL뒷면에 관련 약관이 나와 있는 용지로 발행해야 유가증권으로써의 효력이 있으며, 수입국에서는 이 원본 OBL 원본을 수령받아야 물건을 인도받을 수 있으며, 수출입자 간의 신뢰가 없거나 L/C의 경우에 OBL을 발행되며, 2) SURENDER B/L은 권리는 포기하는 의미의 B/L로 SURRENDERED라는 문구가 있다면 수령할 수 있으며, OBL 원본 수령에 대한 불편함을 보완하는 B/L로 T/T 건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