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 는 왜 우리나라에 만 있는 건가요?
우리나라에 는 부동산 을 구하는 방법 중 에 방법 이 월세 전세 매매 가 있잖아 요 근데 월세 매매 는 다른나라에도 있어 도 전세 는 우리나라에 만 있는 데 왜 전세 는 우리나라에 만 있는 건가요?
우리나라의 60~70년대 급격한 경제가 발전하고 금융이 발달하지 못했던 시절에 임대인은 무이자로 돈을 융통할 수 있고 임차인은 매달 내는 월세 없이 집을 사용할 수 있는 서로의 니즈가 잘 맞았던 것이 지금까지 이어져 오고 있는듯 합니다.
거기에 전세가 임대 방식의 한축이 되니 주택임대차보호법을 만들어 임차인을 약자로 보고 보호하는 법안이 생기면서 더 없어질 기회가 없어지고 거기에 더해 전세대출 보증이라는것을 해주면서 지금까지 이어져 오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우리나라의 본격적인 산업화가 시작된 1970년대 중반부터 전세가 본격적으로 증가했습니다. 중공업 육성, 수출 드라이브, 중동 건설 붐 등으로 GDP 실질성장률이 연평균 11%에 달했다. 살림살이가 상대적으로 핀 서민들은 좋은 집을 찾았고 민간 건설사들은 이에 부응해 아파트 공급을 늘였습니다. 1975년 9만여 가구에 불과했던 아파트가 1980년에는 37만여가구로 증가했고, 집값이 빠르게 올라갔습니다. 당시 은행은 기업에만 돈을 빌려줬을 뿐 가계 금융은 등한시하는 상황이었다. 아파트를 사고 싶지만 서민들은 돈을 빌릴 곳이 없었기에 사적 주택금융인 전세가 크게 증가하게 되었습니다.
즉 세입자는 적은 목돈으로 거주를 집주인들은 은행 대출 대신 보증금을 받아서 다른 곳에 활용을 하는 서로간에 원하는 바가 맞아서 지금까지 오게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전세제도는 볼리비아와 인도에도 있습니다. 볼리비아의 안티크레티코는 보증금만 있고 월세가 없는 형태이고 2년의 기준 계약기간을 가지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는 예전부터 토지나 건물을 대상으로한 물권을 담보로 돈을 빌리는 제도가 있었는데, 19세기 개화기에 외국인과 농촌인구의 도시지역 이동으로 주택수요가 증가하면서 지금과 비슷한 제도로 발전되었다고 합니다. 이는 당시 부동산 관련한 금융 시스템이 없어서 주거를 마련해가는 시스템으로 자연스럽게 자리를 잡게 된 것인데, 이후 주택 가격이 계속 상승함에 따라 월세보다 주거 사다리 역할을 해주는 전세의 장점이 두드러지다 보니 지금까지도 전세 제도가 이어져 오고 있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우리나라 전세제도는 세입자와 집주인의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져 생긴제도로 지금까지 이어져왔고 사적 금융으로 역할을 했으며 임대인은 보증금을 이용해서 좋았고 임차인은 목돈을 모을수 있어서 집을사기전에 징검다리 역할을 했습니다
그런데 요즘 전세사기와 보증금이 너무높게 올라가는 바람에 월세나 반전세가 많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전세제도가 없어지지 않는 이유는 그래도 서로에게 유용했기 때문이라고 봅니다
아니다 싶으면 금방사라지는데 여기까지 왔을때는 서로가 도움이 있어서 일거라고 봅니다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예전에는 은행에다 돈을 맡기면 상당한 이자를 주었습이다. 그 목돈으로 세입자에게 받아서 은행에 맡겨 놓으면 상당한 이자가 나와 월세를 받지 않아도 되었습니다.
또는 투자를 잘하는 사람이나 사업을 하는 사람은 목돈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전세금을 목돈으로 받아다가 투자나 사업을 하는데 쓴느 방법으로 활용하기도 할 수 있어 전세제도가 발달하게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영관 공인중개사입니다.
자연스럽게 생겨난것이고 그것을 정부에서 인정해주면서 전세자금대출,전세보증보험등이 생기면서 완전히 자리잡은것 입니다. 유사한것은 일부 다른나라에도 존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