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청약 얼마나 하는게 좋을지 알려주세요
나이 30대 초반에 경기도 살고 있습니다. 주택청약을 하려고하는데 최대 얼마금액만큼 해야되는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주택 청약을 위해서 불입을 하실 때 최소 납입 금액은 2만원이나 최대 인정금액인 25만원까지 저축하는 것이 당첨 확률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무주택 기간 15년 이상이면 최대 32점까지 받을 수 있으므로 무주택 상태 유지하고 부양가족이 추가될 때마다 가점이 되어 최대 6명 35점이 되므로 부양가족관리도 필요하며 청약통장 가입 기간 1년마다 점수가 쌓여서 15년 이상이면 최대 17점까지 받을 수 있으니 청약 통장을 꾸준히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여기에 더하여 각종 특공 조건에 해당 될 수 있도록 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30대 초반이고 경기도 거주 중이시라면 지금 청약통장(주택청약종합저축)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점입니다
핵심은 얼마나 많이 넣느냐보다 얼마나 오래 유지하느냐 입니다
경기도 30대라면 월 10만 원씩 꾸준히, 총 200만 원까지만 채워도 충분합니다
이후엔 납입 멈추고 가입기간만 꾸준히 쌓는 게 유리합니다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주택 청약 시 주택청약저축로 가점을 많이 받기 위해서는 주택청약통장가입기간, 납입횟수, 납입총액이 점수와 연관이 되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여유가 되신다면 매달 25만원씩 불입을 하시는 게 좋고, 또한 연간 300만원까지 소득공제가 가능하므로 매달 25만원씩 불입를 하시는 게 좀 더 유리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공인중개사입니다.
주택청약은 월최대 10만원, 장기 납입, 무주택기간이 핵심 점수 요소입니다.
수도권은 예치금기준 1,500만~2,000만원이 일반적입니다.
나이 30대 초반에 경기도 살고 있습니다. 주택청약을 하려고하는데 최대 얼마금액만큼 해야되는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주택청약을 위해서 점수관리를 잘 해야 합니다. 부여되는 항목으로 "무주택세대주, 청약기간, 부양가족수"인 만큼 지금부터 상기 항목에 대해서 관리가 필요한 사항입니다. 청약저축은 매월 최대 10만원까지 인정받습니다.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청약통장의 경우 최대 얼마만큼을 넣을지는 본인의 결정사항이고 실제 청약을 진행할떄 필요한 요건이라면, 민영청약의 경우 입주자모집공고이전까지 지역별 평형별 최소금액에는 충족이 되어야 청약자격이 주어지게 됩니다. 여기에 보유기간도 청약요건에 해당이 되게 됩니다. 그리고 공공청약의 경우는 보유기간과 납입횟수를 가지고 1순위 자격을 구분하게 됩니다.
최소예치금의 경우 전용 85제곱기준 서울/부산은 300만원, 기타광역시는 250만원, 기타 시/군 200만원 , 전용 102제곱미터이하의 경우 서울/부산 600만원, 기타광역시 400만원, 기타 시/군 300만원이 됩니다. 그리고 모든 면적 기준으로는 서울/부산이 1500만원, 기타광역시 1000만원, 기타 시/군 500만원입니다 .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주택청약통장은 25만 원씩 납입하는 것이 제일 좋습니다.
25만 원씩 꾸준하게 납입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내가 어떤 청약을 하려는지에 따라 다릅니다.
공공 청약의 경우는 돈을 많이 넣은 사람이 유리한데 월 최대 25만원 까지 인정 되기에 25만원을 하는게 좋습니다.
민영 청약의 경우는 돈의 액수는 최저 금액만 넘으면 되기에 딱히 월 얼마를 해야 좋다는건 없고 적당히 유지하다가 청약할때 해당 금액만 맞춰 주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채정식 공인중개사입니다.
월 납입 인정액은 최대 25만원까지 반영 됩니다 경기도 85제곱미터 이하 국민주택 청약시 약 200만원 이상 저축이 필요하며 최소 1년 가입 및 12회 납입 요건을 갖추셔야하니 위 상황에 맞추어 납입 계획을 세우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최현지 공인중개사입니다.
가장 유리한 금액은 월 25만 원입니다. (최근 월 납입 인정 한도가 10만 원에서 25만 원으로 상향 조정됨)공공주택(국민주택)에 청약할 경우, 당첨자 선정 기준인 '저축 총액'을 최대한 빠르게 쌓기 위해 월 25만 원을 납입하는 것이 가장 유리합니다.민영주택(민간 아파트)에 청약할 경우, 납입 금액보다는 가입 기간과 지역별 예치 기준 금액 충족이 중요하므로, 여유가 없다면 월 10만 원씩 납입하여 횟수를 꾸준히 채우는 것도 좋은 전략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