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매매 계약날 잔금날도 그때 결정하나요?
계약날 계약서 쓸때 잔금날도 같이 정해서 날짜를 기록하나요? 양쪽 세입자가 동시에 같이 움직여 이사를 해야될꺼 같은데...이사날짜를 어떻게 정해야 될지 난감합니다
누가먼저 이사날짜를 정해서 통보하는게 맞나요?
계약서 작성할때 잔금날자까지 정하게 됩니다
날자가 정확해야 해서 잔금날자를 좀여유있게 잡아놓고 특약에 날자를 조정할수있다는 문구를 기재하시기 바랍니다
계약을 하기전에 세입자한테 통보를 하고
정확한 날자를 조정을 하시기 바랍니다
잔금일에 대해서는 두 당사자간 합의로써 정해게 됩니다. 질문의 기존임차인과 새로운 임차인의 이사일자조정의 경우는 임대인 입장에서는 만기일 기준으로 하여 정하시면 되고, 별도 기존임차인의 사정에 따른 요청이 있는 경우 임대인이 계약예정인 새로운 임차인과 해당 일자조정이 가능한지를 확인하시면 되는 부분입니다. 그리고 계약서 작성시에는 계약기간에 대한 정함이나 지급방식등이 합의되고 이를 문서화 하는 것이기 때문에 잔금일에 대한 부분도 정하신뒤 계약서를 작성하시는게 순서상 맞습니다. 그리고 원칙적으로 만기일에 퇴거와 새로운 전입을 하는게 기준이기에 해당일자를 기준으로 보시면 됩니다.
잔금날을 계약전에 정해야 계약이 됩니다.
살고 있는 집이라면 보통 그렇게 동시에 움직입니다.
이사 날짜는 그쪽에서 날짜가 정해져 있을수도 있고 내가 원하는 날짜를 먼저 말해볼수도 있습니다.
서로 가능한 날짜를 핑퐁처럼 주고 받아서 정하면 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영관공인중개사 입니다.
계약서작성일에 잔금일을 결정합니다. 보통 이사를 나가는날짜에 맞춰 이사를 들어가는것으로 스케줄을 잡습니다.
계약날 계약서 쓸때 잔금날도 같이 정해서 날짜를 기록하나요? 양쪽 세입자가 동시에 같이 움직여 이사를 해야될꺼 같은데...이사날짜를 어떻게 정해야 될지 난감합니다
누가먼저 이사날짜를 정해서 통보하는게 맞나요?==> 잔금일자 등은 중요한 사항인 만큼 사전에 협의를 하여 진행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매도인이 원하는 이사날자를 제기하면 매수인은 원하는 날자를 조정하여 처리하게 됩니다.
잔금일은 계약의 한 부분이며 당연히 기재됩니다
다만 사정이 있다면 계약이후 당사자합의로 변경시킬수 있다는 특약을 넣으시면 될것 같습니다
자금사정상 동시에 같은 날 이사하는 것은 흔한 일입니다
시간차를 정해서 이사하시면 되겠습니다
이사날자는 이사 계획이 서는 분부터 절충조정하면 되겠습니다네, 계약서 상에는 계약일, 중도금 납부일과 잔금일을 적시합니다. 다만, 잔금일이 변경될 가능성이 있으면 보통 잔금일을 지정해 놓고 앞으로는 협의하에 당길 수 있다는 표현을 넣어서 계약서를 작성합니다. 이사일은 서로 협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