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률
왜 개헌은 1987년이후로 이루어지지않을까요?
안녕하세요? 지금 개헌에 관한 이야기를 국회에서 하고 있는것으로 알고있는데요, 1987년이후 왜 개헌이 안되고 있는지 알고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김성훈 변호사입니다. 헌법개정은 그 절차가 굉장히 엄격합니다. 따라서 개헌을 하려면 여야합의부터 이루어져야 하나, 현재 국회상황을 보면 왜 안되는지 답이 나올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최성표 변호사입니다.
개헌 시도는 끊임없이 있었습니다. 다만 전국민적 공감대를 이뤄내기 쉽지 않습니다. 1987년 개헌의 경우 전국민적인 동의가 존재하였으나 그후에는 예전만큼 하나의 공감대를 이뤄내는게 쉽지 않아졌습니다. 게다가 개헌 요건 역시 국회의원 2/3이상의 동의를 요해야하기 때문에 현재와 같은 양당제 체제하에서는 쉽지 않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진우 변호사입니다.
개헌을 하려면 국민투표를 하는 등 쉽지 않은 절차를 거쳐야 하며, 이후 어느정도 국내 정세가 안정화되면서 굳이 헌법을 개정해야할 만한 필요성이 없었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길한솔 변호사입니다.
국회에서 해당 시기 이후로 개헌에 대해서 명확한 논의가 진행되지 않은 부분도 있고 과거 사로 인하여 개헌에 대해서 다소 조심스러운 부분 역시 반영된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