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보험vs3.3% 어떤게 맞는선택일까요?
본인 22살이고 영업사원으로 일 하는데 기본급+인센구조임, 4대보험,3.3% 어떤게 나을까
세전 300~600돼
<< 현 나라 시점과 앞으로의 전망을 고려하여>>
안녕하세요. 이종영 노무사입니다.
원칙적으로 4대보험은 가입의무가 적용되므로 선택사항으로 보기 어렵습니다. 또한 3.3퍼센트를 적용하더라도 근로자는 근로소득세 납부 의무가 있으므로, 근로소득세율을 적용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안녕하세요. 유창훈 노무사입니다.
근로기준법상 근로자로 고용되는 것이라면 두가지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이 아닌 4대보험을 가입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안녕하세요. 최창국 노무사입니다.
3.3% 세금 처리한다고 하는 것은
대부분 회사에서 질문자를 근로자로 고용한 것이 아니라고 생각하는 경우입니다.
이럴 경우 근로자에게 발생하는 주휴수당 + 연차휴가 + 퇴직금 등에 대하여 분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근로계약서를 작성하시고 4대보험을 가입하여 근로자로 근무하시는 것이 위 권리 발생 분쟁시 안전판을 확보해 줍니다.
몇달 근무하고 퇴사할 경우라면 단기 수입이 많은 것이 좋지만 1년 이상 장기적으로 근무할 경우라면 근로자로 4대보험을 가입하고 근로하시기 바랍니다.
설명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하 노무사입니다.
4대보험과 3.3%는 선택사항이 아닙니다.
근로기준법상 근로자라면 4대보험에 가입하는 것이 원칙이고, 근로자가 아닌 프리랜서로 일하는 경우라면 보통 3.3%공제를 하는 것입니다.
어느 것이 더 유리한 개념은 아닙니다.
안녕하세요. 차충현 노무사입니다.
4대보험은 강제보험으로써 가입요건을 충족하면 반드시 가입해야 하며, 3.3%는 사업소득자에게 부과되는 사업소득세이므로 근로소득자인 근로자에게 원천징수 할 수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정동현 노무사입니다.
3.3% 세금처리는 프리랜서에게 적용이 됩니다. 근로자라면 법에 따라 4대보험에 가입해야 합니다.
근로자임에도 3.3%로 세금처리를 하는것은 불법입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