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고용·노동
날렵한풍금조82
날렵한풍금조82
22.05.21

월말 퇴사와 월말 이후 월초 퇴사 뭐가 유리할까요?

안녕하세요.

퇴사일 정하는거 관련하여 문의드립니다.

▶근무일 : 7년
▶퇴직금 누진일 : 45일(회사 복지)

제가 단순히 생각할 때는 하루라도 더 늦게 퇴사하는 것이 퇴직금 산정에 더 유리할 거 같긴한데요.

퇴직금 산정이 직전 3개월의 근무일, 수당에 따라 차이가 난다고 하여,

만근의 3개월이 만근이 껴있지 않는 3개월보다 유리한 건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들어서요.

아래의 예를 들면
1) 7월 말 퇴사(매달 급여와, 상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2) 8월 7일(일요일) 퇴사 - 8월1일~8월7일 휴가로 9월에는 7일분의 급여나 나옴

일은 똑같이 7월말까지 하는거지만 퇴사일을 7월말로 하냐, 8월 7일로 하냐의 차이입니다.
회사에서 해줄지는 모르겠지만 가능하다고 하면 8월 7일 퇴사가 유리할까요?
(8월 초 퇴사시 직전일 3개월급여면, 8월급여가 적게 잡히는게 아닌가 싶어서요.)

질문
1. 7월말 퇴사 VS 8월초 퇴사 유리한 퇴사일?
(8월초가 유리하다고 하면 회사에 8월초로 제출해도 7월말로 수정해서 다시 올리라고 할 권리가 있을까요?)

2. 퇴직금 누진일 45일 반영한다고 하는것은 퇴사일이 7월말이라고 하면 9월 15일 퇴사한 효과를 낸다는 것일까요?
아니면 7월말 퇴직금 정산 +@(45일분)을 준다는 말인가요?

3. 추가로 자발적 퇴사의 경우 7월말이나 8월초에 퇴사시 9월달에 실업급여를 신청할 수 있을까요?
(적극적으로 구직활동을 하긴하는데, 이후 재취업이 언제될지 몰라서요... 구하고 가는게 아니여서요ㅜ)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