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밀도검사를 했는데 골감소증이 맞나요?
안녕하세요. 만 32세 남성입니다.
얼마전 건강검진에서 우연히 골밀도검사(대퇴부, 요추)를 받았는데 사진과 같이 골감소증이 나왔습니다.
저는 별다른 기저질환이 없고 약물을 장기복용한적도 없습니다.
그런데 젊은 사람은 Z스코어로 진단을 내려야한다던데 Z스코어로 봤을때도 골감소증인가요?
골밀도검사지 사진첨부 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덕현 물리치료사입니다.
Z점수를 위주로 확인해보면되는데요 -0.2이하가 아니라면골감소증을 걱정하지않아도괜찮습니다
좀더 자세한건 병원에서 전문의와 상담을 받아보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임동원 물리치료사입니다.
32세라면 말씀처럼 T-score보다 Z-score를 기준으로 보는 게 맞습니다. 따라서 검사지를 확인하시고 Z-score가 -0.2 이하인지가 중요합니다. 그보다 크면 골감소증보다는 단순히 골밀도가 또래 평균보다 조금 낮은 정도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
32세 남성의 경우 T점수보다 Z점수를 기준으로 해석하는 것이 맞습니다. Z점수가 -2.0이하라면 연령대에 비해 낮음으로 보고 -2.0이상이면 정상 범위에 속합니다. T점수에서 경도 감소처럼 보여도 Z 점수가 정상이라면 병적 골감소증으로 보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동진 물리치료사입니다.
골밀도 검사를 받고 점수가 낮게 나와 걱정이 많으시군요.
t-값은 건강한 30대 성인의 평균 골밀도와 비교한 값으로 골다공증의 진단 기준이 되는 지표 이며 -2.5이하이면 골다공증, -1.0~-2.5이면 골감소증 진단을 받으실 것입니다.z-값은 같은 연령대, 성별, 체형을 고려한 골밀도 비교 수치로 골다공증 외에 다른 특정 원인으로 인한 골밀도 저하 여부를 평가하는데 데 사용되어 지며 -2.0이하이면 연령 대비 골밀도가 비정상적으로 낮은 것을 의미하며 골다공증 외에 다른 원인도 고려해야 합니다.
골밀도 검사지로 보아서는 골감소증을 보이는 것으로 보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강록 물리치료사입니다.
보통 50세 미만이라면 T스코어 보단 Z스코어를 보긴 합니다.
T스코어 기준 -1.0 ~ -2.5 사이라면 골감소증을 진단 받을 수 있으며, Z스코어가 -2.0 이하라면 골감소증 진단을 받을 수 있습니다.
우선 Z스코어가 -2.0 보단 높기에 너무 걱정마시고 골감소증 진단을 내린 전문의에 소견을 한번 더 들어보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
업로드해주신 증상의 설명과 자료는 잘 보았습니다.
젊은 분의 경우는 Z-score로 판단하는 것이 맞습니다.
단지 골감소증 골다공증의 용어를 사용하지 않고
정상 vs 연령기대치 이하
라는 용어를 사용합니다. 기준은 Z=-2 입니다.
안녕하세요. 김현태 물리치료사입니다.
Z-스코어가 -2.0 이하인 것은 연령기대치 보다 이하의 점수를 의미하는 것으로, 평균적으로 연령대비 골밀도가 낮은 것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별다른 기저질환이나 약물의 장기복용이 없다고 하더라도 생활습관이나 음주, 흡연 및 운동량이나 호르몬등의 다양한 원인에 의해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필요하신 경우 추가적인 소견을 위해 내분비내과나 정형외과와 같은 관련된 진료과목에서 진료를 받아보시는 방법도 추천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