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육아

양육·훈육

언제나주목받는기술자
언제나주목받는기술자

외동 아이들이 대체적으로 질투가 많은 이유는 무엇인가요?

외동 아이들의 경우 대체적으로 질투심이 많고, 물건에 대한 집착도가 높은 경우가 많은데 어떠한 이유에서, 본능적으로 질투심이 자리잡고 있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외동 아이가 질투가 많아서 걱정이 되는 것 같습니다.

    우선은 아이의 감정을 인정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아이의 자아존중감을 높여주는 것도 필요합니다.

    다름에 대한 이해, 협력의 중요성 강조, 질투의 긍정적 활용, 개별적인 관심 제공 등이 대처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질투는 자연스러운 감정이지만 이를 건강하게 관리하면 아이의 정서적 성장에 도움이 됩니다.

    아이의 자존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일상생활에서 따듯한 스킨십을 해줍니다.

    부모가 먼저 모범이 되어주어야 하며, 아이에게 자율성을 주는 것이 좋습니다.

    좋은 모습을 보일 때는 아낌없이 칭찬해주고 가능하면 '안돼'라는 말은 자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부모가 아이에 대한 기대수준이 높고 잘못된 행동을 야단치게 되면 아이의 자존감은 낮아지게 됩니다. 또한 부모의 잦은 화내는 모습을 보고 자란 아이는 부모에게 사랑받지 않는다고 생각하여 자존감이 낮은 아이로 자랄 확률이 높습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외동 이라고 해서 질투가 많고 물건에 대한 집착도가 높은 것은 아닙니다.

    기질에 따라 다릅니다.

    아이들이 성장하며 사회적 관계를 형성 할 때 질투는 종종 문제를 일으키는 감정 중 하나 입니다.

    질투가 많은 아이들은 자신과 다른 사람들과 비교하고 자신의 부족함을 느끼며 감정적인 어려움을 겪습니다.

    질투의 원인은 자아존중감 부족, 양육자의 주의와 사랑부족, 자원의 경쟁, 사회적 비교 등이 있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고민지 보육교사입니다.

    외동아이들이 대체적으로 질투심이 많거나 물건에 대한 집착이 강하게 나타나는 경향은 환경적 요인과 심리적 발달 과정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이들은 형제자매 없이 자라며 부모의 관심과 자원을 독점하는 환경에서 성장하는데, 이는 처음에는 안정감을 주지만 동시에 독점적 소유감과 비교경험의 부족을 낳을 수 있습니다

    형제자매가 있는 아이들은 자연스럽게 타인과 자원을 나누는 경험을 반복하면서 "내 것과 네 것"을 구분하고 떄로는 양보하고 때로는 포기하는 훈련이 됩니다

    반면 외동아이는그러한 상황이 일상에서 덜 발생하기 때문에 누군가 자신의 물건을 만지거나 부모의 관심이 다른 아이에게 쏠리는 상황에 더 큰 위협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것이질투심이나 집착의 형태로 나타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대체로 외동 아이들의 경우, 부모나 보호자의 사랑이나 관심을 독차지하면서 자라왔기 때문에, 그러한 독점에 익숙하여 물건 등에 대한 욕심이나 질투도 높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외동 아이는 부모의 관심을 독점하다 보니 이를 잃는 상황에 민감해 질투심이 생기기 쉽습니다. 형제와의 경쟁이 없어 조절 능력이 덜 발달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임경희 보육교사입니다.

    외동이라고 질투심과 물건의 집착도가 높은것은 아니고 아이의 성격과 성향 그리고 가정환경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하지만 혼자만의 사랑과 관심과 모든것을 혼자 독차지하며 지내기 때문에 양보와 배려를 해야하는 형제자매가 많은 가정에서 자란 아이보다는 질투가 물건 집착도 및 이기적인 성향이 많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것은 부모의 교육가치관과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외동아이들이 대체적으로 질트가 많은 이유는 혼자있기 때문의 부모의 관심을 다 받았는데 사회나가서 그렇지못하면 그게에대해 불편하고 질투가 생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