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정형외과

구체적목표,바로성취,결과피드백
구체적목표,바로성취,결과피드백

나이드신 분들이 낙상으로 골절이 되면 쉽게 뼈가 붙지 않고, 치료가 오래 걸리는 경우가 많은데, 몸에 무엇이 부족해서 뼈가 잘 붙지 않는건가요?

성별
남성
나이대
65

젊은 시절에는 뼈가 부러지는 경우가 있더라도 치료를 하면 쉽게 뼈가 붙고 치료도 빨리 되는데

나이가 들어서 낙상 등으로 골절이 되면 치료를 하더라도 쉽게 뼈가 잘 붙지 않은데, 몸에

어떤 성분이 부족해서 그러는지 궁금하며, 개발된 약으로 치료가 빨리 되는 약은 아직 나와있지 않은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

    나이드신 분들이 낙상등으로 인해서 골절이 생겼을 때 뼈가 잘 붙지 않고 치료가 오래 걸리는 이유는 골밀도의 감소로 인해서 뼈의 밀도와 강도가 줄어들어 잘 붙지 않거나 회복이 늦어질 수 있고 칼슘은 뼈를 구성하는 중요한 미네랄로 비타민 D가 칼슘의 흡수를 돕는 역할을 하는데 나이가 들면서 음식물 섭취량 감소 및 소화능력등의 저하 그리고 야외활동 감소등으로 인해서 영양소들이 부족해서 회복이 더딜 수 있습니다.

    또한 여성의 경우 폐경기로 인한 호르몬의 변화로 인해서 그럴 수도 있고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않고 세포 재생 능력이 떨어져 골절 부위 회복이 느려지기도 합니다.

    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김덕현 물리치료사입니다.

    나이가 많은분들의 경우 뼈가골절되었을대 회복기간이 길어질수있는데요 회복력이떨어질뿐만아니라 나이가 들수록 뼈의 생성능력이 떨어지고 여러가지 영양분이 부족해서 생기는 증상으로 볼수있습니다~

    좀더 자세한건 병원에서 전문의와 상담을받아보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진 물리치료사입니다.

    뼈가 잘 붙지 않는 이유는 칼슘과 인의 비율이 맞지 않거나 비타민 D 부족은 회복 속도를 느리게 하며 나이가 들수록 뼈 생성능력이 떨어지게 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


    나이 들수록 뼈가 잘 안붙는 이유는 칼슘, 비타민d, 콜라겐, 호르몬 감소 때문이에요! 최근엔 골다공증 치료제와 골형성 촉진제 등이 개발돼 회복을 돕고 있어요

    하지만 약물은 뼈 상태에 따라 달라지므로 정형외과나 내분비내과에서 정확한 골밀도 진단 후 처방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나이가 들면서 뼈가 잘 붙지 않는 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우선 나이가 들면 뼈의 밀도가 감소하고, 골다공증 같은 질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뼈가 부러졌을 때 치유 과정이 길어지는 원인이 됩니다. 또, 노화로 인해 뼈 세포의 재생 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회복에도 시간이 더 오래 걸립니다.

    특히, 칼슘과 비타민 D 같은 영양소가 부족할 경우 뼈 건강에 직간접적으로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칼슘은 뼈의 주된 구성 성분으로, 충분한 양이 필요합니다. 비타민 D는 체내 칼슘의 흡수를 도와 골절 회복에 중요합니다. 나이가 들면서 이들 영양소의 흡수율이 떨어지기도 하고, 필요량이 증가할 수 있어 식사를 통해 충분히 섭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혈류가 원활하지 않게 되면 필요한 치유 물질들이 손상 부위에 도달하는 데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적절한 혈액 순환이 뼈의 회복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개발된 약으로 뼈의 치유를 촉진하는 치료들은 일부 존재합니다. 예를 들어, 골다공증 치료제는 뼈의 손실을 줄이고, 치유를 돕는 효과를 가질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뼈 세포의 활동을 촉진하는 약들도 연구되고 있으니, 적절한 치료 방법에 대해 병원에서 상담을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현태 물리치료사입니다.

    나이가 들면 골밀도가 저하되고, 뼈를 만드는 조골 세포의 기능 저하 및 뼈의 유기질을 구성하는 영양소의 질이 떨어져 뼈의 탄성과 강도가 약해집니다.

    뿐만 아니라 영양소의 불균형, 기저 질환이나 약물 복용 또는 흡연이나 과음과 같은 환경적인 여러가지 이유로 인해, 골절이 발생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치유가 늦을 수 있습니다.

    현재 개발된 약물들은 골다공증의 치료제 또는 영양소의 보충을 통해 뼈의 질적 개선을 목표로 하는 방식으로, 직접적인 골절의 회복 속도를 증가 시키는 약물은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우리 몸은 20세를 기점으로 세포 재생능력이 점점 떨어지게됩니다.

    피부에 같은 상처가 나도 나이가 들수록 회복력이 떨어지는데 이게 뼈에도 마찬가지인거죠.

    뼈가 잘 부러진다면 우선 골다공증이 있는게 아닌지를 골밀도 검사를 해서 확인하는게 도움이 되겠습니다.

    골절이 생긴 경우에 골다공증 치료제중에서 teriparatide나 romosozumab이라고 하는 주사제들이 골형성을 촉진하기 때문에 골절 후에 사용되는 경우가 있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