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률
중고거래 사기죄 기망행위 해당 되나요?
2월 9일에 중고거래 어플에서 대리구매 물품을 구매하기 위해 입금 진행 했습니다.
그 후로 며칠 제품, 발송 얘기 하다가 2월 후반 부터 택배 접수 해주겠다고 하면서 계속 안 보내주다가
3월 중순부터는 연락 자체가 안되다 싶이 했습니다.
그래서 더치트 사기 신고 후 더치트 신고 했다고 통보 했더니 연락을 바로 보더군요
자기가 얘기 하기로는 어플 오류 때문에 연락이 안왔다고 하던데 신고 통보 하자마자 연락 보는게 의도적으로 연락 안 봐왔으면서 신고 얘기에 급해져 연락 본거 같아서 되게 기분이 나빴습니다..
혹시 이런 행위를 기망행위로 보고 사기죄 해당 되어 신고 할 수 있을까요?
그리고 연락와서 돈이 없어 4월 초에 환불 진행해 주겠다고 하는데 피해회복 거부하고 사기죄로 신고 가능 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법률 상담 지식답변자 김성훈 변호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아래 내용은 문의내용에 기초하여 작성된 것으로, 구체적인 사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상대방의 주장내용이 사실이라면 기망의사가 인정되기 어려워 사기죄 성립가능성이 낮습니다.
안녕하세요. 한경태 변호사입니다.
애초부터 물품을 가지고 있지 않는 등 판매할 수 없는데도 기망하여 판매한 경우여야 사기죄가 성립할 수 있을 것입니다.
- 1개월 가까이 제대로 처리가 되지 않고 연락도 되지 않았다면 사기죄에 해당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사기죄로 고소한 경우 4월에 환불이 이루어지면 그 입증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