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옹골진가젤199
옹골진가젤199

응급상황 속 환자 경련, 발작 처방 관련 질문

성별
여성
나이대
20
기저질환
*
복용중인 약
*

안녕하세요.

응급상황 속 환자 경련, 발작 처방 관련 궁금한 게 생겨서요!

흔히 의학 드라마에서 심장마비일 때 에피(에피네프린)을 처방하듯

응급실에 낙상사고로 들어온 20대 환자(외상은 크게 없는 상황)가 쇼크로(ptsd)로 경련이나 발작을 할 경우 기본적으로 어떤 약물을 처방할 수 있나요?

미리 답변 감사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록희 한의사입니다

    낙상으로 쇼크와서 경련 발작 할때는 일단 기도확보하고 뇌에 산소공급이 잘 되도록 해주시면 됩니다

  •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로 인한 경련이나 발작은 매우 드문 경우입니다. 다만 극심한 스트레스와 공황 상태로 인해 과호흡이 유발되면 손발 저림, 현기증, 실신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환자를 안정시키고 산소를 공급하는 것이 우선적인 처치입니다.

    경련이 지속되거나 의식 소실, 호흡 곤란 등의 증상이 동반된다면 뇌전증 발작, 저산소증, 저혈당 등 다른 원인을 감별해야 합니다. 원인에 따라 항경련제, 진정제 등의 약물 처방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정확한 진단과 처방을 위해서는 신경과 전문의 진료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

    답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제 조언으로 건강관리에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만약 그렇다면 추천 버튼을 눌러주시면 앞으로도 이런 건강 상담을 지속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작성된 댓글은 참조만 하시고, 담당의와 대면 상담을 추천드립니다

    낙상으로 들어왔는데 경련이라 발작을 할 경우라면,

    우선 뇌의 CT / MRI 및 각종 혈액 검사가 우선으로 생각됩니다

    -> 당연히 다른 경련을 유발할 병력 확인도 필요하고요

    만약 정신과적 원인이라면 (PTSD , 공황장애, 과환기 등)

    아티반 주사나 디아제팜 주사를 고려해 볼 수는 있습니다

  • 응급상황에서 환자가 경련이나 발작을 할 때 처방되는 약물은 그 원인과 환자의 상태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벤조디아제핀 (Benzodiazepines): 이는 응급상황에서 경련을 빠르게 멈추게 하는 데 가장 흔히 사용되는 약물입니다. 대표적인 예로는 로라제팜(Lorazepam)이나 디아제팜(Diazepam)이 있습니다. 이 약물들은 중추신경계를 억제하여 신경 흥분을 줄여줍니다. 미다졸람(Midazolam)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항경련제 (Anticonvulsants): 만약 경련이 지속되거나 재발할 가능성이 높다면, 항경련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페니토인(Phenytoin)이나 레비티라세탐(Levetiracetam) 같은 약물이 사용될 수 있습니다.

    마그네슘 설페이트 (Magnesium Sulfate): 특정한 경련 상태 에 사용됩니다.

  • PTSD는 낙상사고 후 바로 응급실에서 진단 할수있는 것은 아닙니다. 그냥 낙상사고로 쇼크가 온 환자를 기준으로 얘기해보면 외상이나 내상이 없고 그냥 정신적 충격 때문에 경련이나 발작을 한다면 그 분을 진정시킬수있는 진정제가 우선적으로 주입될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말씀주신 쇼크가 혈압이 떨어지는 등의 쇼크가 아닌느 정신적 충격을 의미한다면, 그리고 그에 의해 발작이 나타났다면 응급실에서는 안정제를 주사하여 발작을 멈출 수 있도록 합니다.

    보통 발작은 시간이 경과하면 저절로 멈추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5분 이상 지속될 경우 뇌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어 장기간의 발작에는 안정제를 먼저 주사투여하고 이후 항경련제를 투여하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 용어 정리가 필요합니닼

    쇼크는 심장이 우리의 온몸으로 혈액순환을 잘 못하는 상황을 이야기합니다.

    심장성 쇼크, 패혈성 쇼크, 신경성 쇼크(척수손상같은 상황), 저혈량성 쇼크(과다출혈) 이 네가지가 의학적으로 이야기하는 쇼크입니다. 

    이런 쇼크 상황에서는 혈압을 증가시키는 승압제를 주로 사용하며 norpin이라고 하는 약을 많이 사용합니다. 

    평소에 이야기하는 정신적인 충격, 쇼크 먹었다 이건 비의학적인 표현입니다. 정신적인 충격에서 사용하는 약은 없고 이로 인해서 공포나 불안이 심할때 신경안정제인 benzodiazepine늘 사용할 수 있겠습니다. 

    PTSD는 경련이나 발박을 유발하지 않으며 불안장애의 일종입니다.

    경련과 발작은 같은 말이며 항견련제를 사용하겠으며 benzo 계열줄에서 ativan같은 약도 항견련제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정확한 진단과 치료는 의사의 진료통해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래 내용은 참고만 해주세요.

    응급 상황에서 20대 환자가 경련이나 발작을 겪을 경우, 신속하고 적절한 대처가 필요합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상황에서는 빠르게 효과를 발휘하는 벤조디아제핀 계열 약물, 예를 들어 로라제팜이나 디아제팜이 사용됩니다. 이 약물들은 주로 급성 경련을 멈추는 데 도움을 줍니다.

    만약 경련이 지속된다면, 페니토인, 발프로에이트, 레베티라세탐과 같은 추가 항경련제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무엇보다 그것이 경련이나 발작이 맞는지 감별이 우선이 되어야합니다.

    환자의 상태와 발작의 원인, 그리고 다른 건강 상태에 따라 처방되는 약물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PTSD로 인한 발작일 경우, 장기적인 관리와 정신건강 전문가의 상담이 중요합니다.

    이 경우 약물치료와 함께 심리치료가 병행되어야 합니다. 환자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며,의사의 지시에 따르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경련과 발작에 대해 원인이나 상태에 대한 감별을 우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