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에 근피신경포착이 생긴 것 같은데 어떤 조치를 취하는게 좋은가요?
매우 과도한 운동으로 아주 심한 근육통이 생기고 (보통 운동해서 생기는 근육통이랑 너무 달랐습니다: 운동 일주일 후에서야 온 팔을 조이는듯한 근육통이 생겼고 이것이 점점 나아지긴 하는데 두달정도 지속되고 있습니다 )
통증보다 알 수 없는 것은 현재 팔에 힘이 쭉 빠지는 느낌이 든다는 것인데요.
감각이 없거나 힘이 안들어가지는 않는데 팔꿈치 아래로 팔의 무게가 안느껴질만큼 너무 가볍고 제팔이 아닌 것만 같은 느낌이 듭니다..
통증은 없어진 편이고 삼각근쪽만 아침에 욱신거리는 정도인데요,
병원에서는 엑스레이 정상이었고 도수치료를 권하였는데 신경쪽 문제더라도 도수치료로 나을 수 있을지 생각이 들기도 하고요
현재 이 가벼움이 이주정도 지속되고 있어서 이상합니다..
찾아보니 근피신경포착? 이라는 것이 있던데 저의 증상과 비슷한 것 같아서 혹은 아니더라도
이런 경우에는 어떤 병원에서 어떻게 치료 받는 것이 가장 좋을지 조언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이창우 물리치료사입니다.
근피신경포착은 충분한 근육의 이완과 신경에 대한 스트레칭이 핵심인데요.
근육 이완과 신경에 대한 스트레칭은 도수치료가 꽤 적합한 치료라고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편입니다.
현재 상황에 대해 제 개인적인 치료 루틴은 이러한데요.
근피신경 관련된 근육 이완 ->치료사 손에 전류를 흘려 신경 자체에 대한 근육 및 신경계에 대한 정상화 유도 -> 근력강화 및 기능성 운동 지도 -> 예방방지를 위한 간단한 체형교정
근육 이완부위는 : 삼각근을 중심으로 날개뼈와 팔뼈 앞쪽 가슴근육을 이완하는걸 추천드립니다.
물론 제 접근법이 무조건적인 정답은 아닙니다. 다만 이런식으로 치료사 선생님들도 합리적인 방법으로 치료가 가능하다는걸 알려드리고 싶었습니다.
만약 꾸준히 관리 받으실 시간이 없다면 주사치료도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음을 밝힙니다.
환자분의 건강을 응원하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남희성 재활의학과 전문의입니다.
신경계를 진료하는 재활의학과나 신경과 진료 보시고 정말 신경기능에 문제가 있는건지 확인을 하시는게 맞겠습니다.
근전도 검사를 통해서 진단이 가능합니다.
근피신경포착의 경우 작성자분이 이야기하시는것과 같이 운동을 과하게 한다고 생기는 문제가 아니겠습니다.
제가 대학병원에서 근전도 검사를 직접 시행하고있는데 작성자분의 증상을 가지고 지금은 명확히 어떤 신경 문제가 의심된다 이야기드리긴 어렵지만 근전도를 해서 확인을 해볼만하다고 생각됩니다.
명확한 진단 없이 도수치료를 하는건 적절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원인이 뭔지도 모르고 도수치료를 하면 그냥 긴장한 근육만 풀어주고 마사지만 해주는거지 문제의 원인을 해결해주는 치료를 적용할 수 없으니까요.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덕현 물리치료사입니다.
지속적으로 불편감이있다면 병원에서 꾸준하게 치료를받는것이 중요한데요 가까운 정형외과를 방문해 도수치료나 주사치료, 약물치료등을통해서 치료하는것이 좋습니다~
좀더 자세한건 병원에서 전문의와 상담을받아보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
팔에 힘이 빠지는 느낌과 삼각근 부위의 욱신 거림은 신경 압박이나 근피신경 포착 증상일 수 있습니다. 이럴 경우 신경과 전문적인 치료가 가능한 병원에서 mri를 통해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도수치료도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신경 문제일 경우 물리치료나 약물 치료도 병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동진 물리치료사입니다.
팔의 불편으로 고민이 많으시군요.
팔의 감각저하가 있으사다면 신경 문제로 의삼돠어 집니다.
도수치료는 근골격계 뿐만아니라 신경계 관련 치료도 하고 있습니다.
신경문제의 경우 x-ray로는 알기가 힘들기 때문에 MRI, CT, 조영제 등 검사가 팔요 할 수도 있기 때문에
정확한 원인을 알기 위해서는 신경과에서 진료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