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X병원 교통사고 치료했어요 그런데…협착증치료는 어찌 하는 건가요?
신호 대기 정차중 트렁크까지 파손된 후미추돌 교통사고로 첫날 통원치료 하고 그날 밤 어깨와 심한 허리통증에 다음날 가까운 병원에 입원을 하였습니다.
X레이 혈액검사 ㅊ도 맞고 물리치료도 받았습니다.퇴원 후에도 허리 통증에 가까운 정형외과를 갔는데 꼬리쪽 협착증이 심하다구 합니다.(X레이만 찍음)
화가 나는데 참아야 겠지요?
협착증이 좀 심하다는데 모를 수가 있나요?
협착증 치료는 어찌 하는건가요?
의사 선생님께서 우선 물리치료만 권해 주셨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덕현 물리치료사입니다.
협착증은 강한충격에 의해서 생기는것보다는 지속적인 스트레스에의해서 퇴행성으로 나타나는경우가 많습니다!
허리 통증이 심하다면 협착증치료를해야겠지만 통증이 심하지않다면 운동이나 관리를통해서 유지하는방향으로 가는게 좋습니다!
가장좋은방법은 병원에 방문하셔서 검사를받아보시고 도수치료를받으시는걸 권해드립니다~
빨리 몸이 호전되시기를 바라겟습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최우영 물리치료사입니다.
척추 협착증은 척추관이 좁아져 신경이 압박받는 상태를 말하며, 초기에는 증상이 경미해서 진단이 되지 않을 수 있지만, 협착증이 심하다고 했으면 그전부터 증상이 발생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협착증 치료는 물리치료와 재활치료를 통해 몸에 안정성을 만드는 방법이 도움이될 수 있으며, 증상이 심하다면 주사치료도 도움이될 수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권만순 물리치료사입니다.
협착증 치료는 일반적으로 좁아진 척추관 사이를 약물이나, 시술로 공간을 넓혀주기도 하며, 운동으로 공간을 넓혀주는 운동을 하기도 합니다. 근데 협착증은 mri를 찍어야 정확히 알 수 있는 질환이라, 엑스레이로는 확인하기 힘듭니다. 가능하면 mri 찍울 수 있는 병원에 입원하셔서 검사 받고 치료 하시는게 좋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정유진 물리치료사입니다.
협착증을 보기 위해서는 mri 촬영이 가장 정확합니다. x ray 는 뼈의 손상이나, 뼈 간격 정도밖에 못보는데 협착증이라고 하는거 보면 뼈 간격이 좁아져 있다는 뜻 같습니다. 가능하면 mri 촬영을 해보시는게 가장 정확하고, 협착증은 일반적으로 주사나, 약물치료를 먼저 해보고 호전이 없다면 시술이나 수술을 하게 됩니다. 과정중에 재활운동도 하기도 하구요. 가능하면 mri 있는 병원 입원하셔서 검사하시고, 치료 받으시면 될 듯 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
교통사고 후 허리와 어깨 통증으로 협착증 진단을 받으셨읍니다 협착증은 신경 압박으로 인해 통증이나 저림이 발생하고 xray으로 진단을 할 수 있지만 추가 검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초기 치료로는 물리치료, 약물치료, 주사요법이 권장되며 증상이 악화되면 수술적 치료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주치의와 충분히 상담하여 치료 계획을 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
협착증은 척추관이 좁아지면서 신경이 압박 받는 것을 의미하며, 대체적으로 반복적인 사용으로 인해 퇴행성으로 많이 발생을 하는게 특징입니다. 물론 외상으로 인해서도 발생하는 경우도 있기는 합니다. 신경의 압박 정도는 엑스레이로는 확인이 불가능하고 MRI촬영을 통해서만 가능합니다. 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지훈 물리치료사입니다.
협착증은 척추관이나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가 좁아져서 신경이 압박받는 상태입니다 이로 인해 허리통증 다리 저림 통증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엑스레이는 뼈의 구조를 확인하는데 유용하지만 협착증의 정도나 신경 압박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MRI 검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의사가 권장한 물리치료는 근육을 이완하고 통증을 줄이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물리치료는 꾸준히 진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소염제나 진통제를 처방받아 통증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당뇨과 관련된 약물복용에 대해서는 의사와 상담하세요
필요한 경우에는 신경차단주사나 스테로이드 주사를 통해 염증을 줄이고 통증을 완화할 수있습니다
협착증 치료는 물리치료 약물치료 주사치료등 다양한 방법이 있고 증상에 따라 적절한 치료를 받는것이 좋아보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현태 물리치료사입니다.
협착증의 경우 증상의 정도에 따라 치료방법을 보존적과 수술적인 치료방법으로 나눌 수 있기 때문에 전문의의 소견에 따라 치료를 하시는 것이 좋겠고, 보존적치료인 물리치료나 주사치료,약물치료등을 유지해보시다가 호전이되지않거나 효과가 미미하다면 수술적인 치료를 고려해볼수도 있습니다. 또한 가벼운 운동을 해주시는 것도 증상완화에 도움이될 수 있으니 근력운동에 대해서도 배워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