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푸른눈테해오라기05
푸른눈테해오라기05

지금 시점에서 주택 구입이 적절한 선택일까요??

최근부동산 시장이 금리 경기 상황 정부 정책 등 여러 요인으로 전망이 불투명하다는 이야기를 많이 듣습니다.

지금 시점에서 주택을 구입하는 것이 현명한 선택일지 투자 관점에서 조언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투자관점에서는 현재 부동산시장은 양극화로 인해 투자대상이 제한적이고, 정부의 부동산시장 안정화정책에 따른 불확실성, 추세적인 인구감소등이 나타나게 되면서 좋지 않은 환경인것은 맞습니다. 특히나 강력한 대출규제와 더불어 토지거래허가구역지정등 갭투자가 불가한 조건등이 발생하면서 투자에 있어서는 더욱 신중한 접근이 필요한 시기인것은 맞아보입니다. 그래서 지금은 투자의 방식이 이전처럼 여러 발전가능지역에 주택수를 늘려 시세차익을 노리는 것보다는 서울 상급지내 똘똘한 한채에 집중투자를 하는 방식으로 변형되었기에 단순히 주택을 구매하는게 유리한 시점이냐보다는 어떠한 지역에 어떤 매물에 대해서 투자를 하는지에 따라서 투자성과가 크게 달라진다고 볼수 있습니다. 부동산 시장이 살아나도 결국 가격이 오를 지역은 제한적이기 떄문입니다,

  • 최근부동산 시장이 금리 경기 상황 정부 정책 등 여러 요인으로 전망이 불투명하다는 이야기를 많이 듣습니다.

    지금 시점에서 주택을 구입하는 것이 현명한 선택일지 투자 관점에서 조언 부탁드립니다.

    ==> 현재 상황에서 주택을 구입하는 것이 적절하지만 주담대 대출에 많은 제한을 받는 만큼 자금조달계획도됩니다 철저한 준비가 예상됩니다.

  • 안녕하세요. 공인중개사입니다.

    주택구입 적정성은 금리 수준, 경기흐름, 정부 정책 등 여러 변수가 좌우합니다. 현재 불확실성이 크므로 실거주 목적이면 무리 없는 범위에서 구입이 가능하지만 투자 목적은 신중해야합니다.

  • 안녕하세요. 채정식 공인중개사입니다.

    현재 주택 구입의 경우 정부 공급 대책과 장기 수급 부족 등의 긍정적인 부분과 금리 상승 및 대출 규제 강화, 시장 불확실성이라는 부정적인 부분이 공존하는 상황입니다.
    투자 목적이시라면 단기 시장 변동성에 대비하여 신중한 접근이 필요해 보이며 실거주 목적이시라면 입지와 생활 편의 위주로 선택하여 과도한 레버리지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괜찮은 선택이 되실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 안녕하세요. 하상원 공인중개사입니다.

    현재 기준금리가 과거에 비해 높습니다. 이자 부담이 크다는 뜻이죠. 그리고 현재 부동산 거래량이 감소세이고, 지역별로 상승세가 둔화되고 있습니다. 경기 일부지역은 회복이 어려울 수도 있을 정도 입니다.

    정부 정책은 지속해서 실수요자 위주, 투자 성향 배제 하는 쪽으로 가고 있습니다.

    즉 실거주가 꼭 필요한 상황이라면, 구매하시겠지만 투자 목적으로는 추천 드리지 않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지금은 부동산 수요 억제정책으로 부동산을 규제를 하는 분위기 입니다.

    여러 대출 규제로 수요를 억제를 하고 있으며 매수자들은 관망세로 시장을 보고 있는 상황입니다.

    또한 인기지역의 경우 비싸더라도 거래가 발생이 되면서 가격이 올라가지만 그렇치 않은 경우는 보합 내지 하락을 하고 있는 양극화 시장이고 대부분 투자 대기자들은 정부의 정책과 방향에 대해 불확실성이 크기 때문에 관망세를 유지를 하고 있는 시장이 볼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부동산은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앞으로 지속적으로 상승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다만 인구가 소멸하는 지역은 상승하기 어려워 초양극화 현상이 나타날 듯 한데 서울과 수도권 중심으로 부동산을 매입한다면 추천드리지만 지방의 소도시는 소멸의 길을 걸을 듯 하여 비추천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실수요자라면 오히려 기회일 수 있습니다내 집 마련이 필요했고 자금 여력이 있다면, 시장 눈치보지 말고 입지 좋은 곳에서 협상 시도해볼만 합니다

    투자자라면 최소 1~2년은 관망하거나, 저평가된 우량 자산 중심으로 선별 투자가 필요합니다

    대출 비중이 높거나, 금리 인하 전까지 버티기 어려운 상황이라면 매수는 신중해야 합니다